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
“후쿠시마의 방사선량은 분명 유전자에 영향을 주겠지만 인터넷에 떠도는 수준만큼
돌연변이
가 생기는지는 좀 더 긴 시간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했어. 괴담3 일본은 이미 망했어. 전역이 죽음의 땅이라고~.사실이 아니야. 확실히 사고 직후는 위험했어. 2011년 3월 27일 후쿠시마에 떨어진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
과학동아
l
201404
아주 다른 모습이었을 거란 사실은 분명합니다. 1억3000만 년 전 어느 날 우연히 나타난
돌연변이
꽃은 강한 생명력으로 은밀하게 지구를 지배해 나갔습니다. 그리고 지구의 모든 것을 조종하고 바꿔 놓았습니다.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꽃이 전부가 아닙니다. 우리는 꽃에 빚진 삶을 살고 있습니다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03
쥐와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종에서 같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 약산성 용액에 넣을 때
돌연변이
가 일어나지는 않는지도 검증해야 한다. 하지만 스탭세포가 사실이라면 줄기세포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특히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한 달이상 걸리는 반면 스탭세포는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03
된다는 뜻이다. 다만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모른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확률이 DNA보다 10만 배 이상 높은 RNA로 이뤄져 있어 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참고로 H5N8형과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이 같은 H5N1형은 2003년 첫 인간 감염 사례가 보고된 뒤 최근까지 동남아시아와 ... ...
AI, “또 죽어야 하나요?”
과학동아
l
201402
희한하게 철새마저 떼죽음을 당했다. ‘H5N8형’이 보균자마저 죽일 정도로 강력한
돌연변이
를 일으킨 걸까. 아니면 우리가 모르는 다른 이유가 있을까. 방역당국에서 역학조사를 하고 있으니 곧 밝혀질 것이다. 조류독감, 구제역으로 무고한 생명을 더 이상 죽이는 죄를 저지르지 않아야 한다.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2
부른다.암에 적용해보면, 대개
돌연변이
가 일어나야 암세포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는데
돌연변이
가 나타나지 않아도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느냐에 따라 암세포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가령 암 유발 유전자는 작동하지 못하게 ‘접혀’ 있어야 하는데 ‘펴져’ 있으면 암세포가 생긴다.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2
오래 사는
돌연변이
종도 있다고요~! 노화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참고로 이
돌연변이
종을 찾고 노화 연구를 한 포스텍 남홍길 교수가 붙인 이 종류의 이름은 ‘Oresara’랍니다. 정말 센스쟁이죠! 전 이 이름이 재미있어서 참 좋아해요. 뜻이요? 한 번 발음해 보세요~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8
많이 발생하는 방글라데시 사람들의 D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콜레라균에 저항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발견했다. 턱이 뾰족한 사람이 많아졌다‘사이즈 코리아 2007’에서 발표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얼굴형은 과거에는 둥글넓적했지만 지금은 턱이 갸름한 사람이 ... ...
유전자로 특허 낼 수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어요.미리어드 지네틱스 사는 유전자 BRCA1, BRCA2의
돌연변이
가 유방암 발생률을 각각 50%, 80%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내 1998년에 특허권을 얻었지요. 이 때문에 유방암이 생길지 알기 위해 미리 유전자를 검사하려는 사람들은 검사를 한 번 받을 때마다 약 377만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1312
사람에게서 고산지역에 적응할 수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
를 발견한 것이 그 예입니다. 이
돌연변이
는 불과 1000년 전에 생긴 뒤 퍼져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화한 유전자’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습니다.의학의 발달도 다양성을 빚어내는 새로운 요인이 됐습니다. 예전에는 살아남지 못했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