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연소자
막내아들
막내아
아들
아들내미
막내동이
귀염둥이
d라이브러리
"
막내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칭찬 한마디가 식물학 반세기 나의 길 결정
과학동아
l
199411
개정면 동정(東井)부락 양지 바른 농가에서 한학을 하신 엄친과 매사에 자상하신 모친의
막내
아들(4남)로 태어났다. 마을 주위는 소나무와 밤나무로 둘러싸인 동산으로 반 이상이 우리땅이었다.어려서 서당에 조금 다니다가 개정국민학교에 입학, 4학년까지 다니고 대야국민학교로 옮겼다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기회를 잡는다면, 태양 출몰의 가장자리에서 반짝이는 별, 태양을 졸졸 쫓아 다니는
막내
아들 수성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초저녁의 샛별, 금성저녁무렵 서쪽하늘에 유난히 밝게 빛나는 별을 본적이 있읍니까? 그것은 '초저녁의 샛별'이라고 하는 금성이다. 금성은 수성보다 훨씬 크고 지구보다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11
로 알려져 있지만 알고보면 폴라리스 선배들처럼 부드러운 여자들도 없다고 동아리의
막내
인 노승림(독어독문학과 1년)양은 말한다."별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우리가 사는 세계가 살아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별자리를 익혀 놓으면 아는 것이 많아져 자꾸만 자꾸만 하늘을 쳐다보게 돼요.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09
이번에 독일에서 열린 대회가 네번째로 올림피아드 중에서는 두 번째로
막내
동이다(가장
막내
동이는 생물 올림 피아드).그러나 컴퓨터의 빠른 보급과 더불어 해가 거듭될수록 더 많은 나라에서 참가하여 이번 대회에는 52개국이 참가하고 46개국 학생들이 시험을 치렀다. 여전히 유럽쪽에 치우치기는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04
후에 이 모임은 유명한 천문서클 미리내(은하수를 뜻하는 순수한 우리말)의 모태가 됐다.
막내
뻘인 이만성씨는 이들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 특히 나은선 할아버지에게서 반사경을 연마하는 '장인기질'을 습득한 것은 호랑이가 날개를 단격. 빛 파장의 8분의 1(10만 분의 1㎜)내의 굴곡도 허용하지 않는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01
톰보우는 천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명왕성이 아닐까 관찰해봤지만 그러기엔 이
막내
행성이 너무 적다는 사실을 깨달았다.행성X에 대한 가장 공신력 높은 보고는 미국해군관측소의 봅 해링튼이 제출한 것이었다. 그는 이 가설상의 행성이 궤도상에 있다면 천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08
어느 우주선도 가까이 접근해 탐사해 본적이 없는 태양계의
막내
둥이 ●질량 : 1.5×${10}^{22}$kg●적도지름 : 2천2백~2천3백70km●밀도 : 0.5~0.8 g/㎤●공전주기 : 9만4백4일(2백47년 2백49일)●자전주기 : 6.39일●태양으로부터의 평균거리 : 39.44AU(59억km)태양에서 가장 먼 행성, 태양계에서 아홉번째로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06
내는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계속하면 불량품이 나오기 십상이지요. 제가 만든 망원경을
막내
아들이나 손자뻘 되는 애들이 쓰는데 어떻게 불량품을 내놓습니까. 짜증을 내면 달래기 위해 쉬어가면서 합니다."김씨는 자기의 고유번호가 붙은 하나하나의 망원경에 혼을 불어넣고 있는 셈이다.나이가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미리 작성하고 접속해야 통신요금을 절약"'푸른메동호회'는 케텔에 49번째로 등록된
막내
둥이 격이다. 지난 4월 30일 창립총회를 가졌다. 중앙대출신으로 약국을 경영하는 최병태(korvir)씨가 대학 후배들을 주로모아 첫모임을 주선했다. 모임의 성격은 환경보존운동과 정보 교환을 주로 하는 것으로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science) 연구 붐이었다. 게다가 그 당시 외할아버지의 별세로 캐나다에서 일시 귀국 하신
막내
이모부의 영향도 막대했다.이모부는 캐나다에서 유기화학을 연구하시다가 분자생물학의 마력에 이끌려 분자생물학 연구로 관심분야를 바꾼 분이었다. 이모부는 당시 한국의 기초과학 및 연구환경이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