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담
격언
속어
d라이브러리
"
속설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07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심지어는 코를 고는 것이 건강함을 뜻한다는 잘못된
속설
을 믿으려 한다. 코를 고는 사람 자신은 자기가 만들어 내는 디젤버스 엔진소리와 맞먹는 70~80dB의 소리를(심한 경우) 듣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그 피해는 배우자나 한방 친구 또는 가족들이 받게 된다.큰 ... ...
손톱
과학동아
l
199206
머리카락과 손톱은 계속 자란다는
속설
이 있다. 물론 합당하지 않은 얘기다. 그렇지만 이
속설
은 아주 그럴듯한 시각적 착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사람이 죽으면 몸조직의 수분함량이 줄어들어 피부가 수축한다. 따라서 손톱주변의 피부가 수축되면 손톱은 더 뚜렷이 드러나게 되므로 길어보이는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05
이뤄지지 않았음을 암시하게 된다.키가 작으면 병에 잘 걸리지 않고, 수명도 연장된다는
속설
이 있다. 반대로 키작은 여성이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키작은 사람의 동맥혈관이 좁기때문에 그런 결과가 초래된다는 것이다.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키의 장단과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
과학동아
l
199204
자극이 여름에 늘어나는데서 원인을 찾은 것이다. 이로써 여름잠과 겨울잠이 다르다는
속설
이 과학적인 버팀목을 얻게 되었다.이같은 여름과 겨울의 수면의 차이가 춘곤증을 일으킨다. 때로는 자율신경계의 긴장도가 달리 나타나기도 한다. 겨울에는 교감신경이 긴장상태를 보이는 사람이 많고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11
독사에 물려 죽은 사람은 영원히 그 미모를 간직한다(?)고 한다. 이는 오래된 이집트의
속설
이다. 클레오파트라는 팔을 독사가 물었기 때문에 죽은 후에도 절세 미인으로 통하고 있는 것일까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06
있지만 관련학자들은 연구가 진행될수록 노화와 뇌기능 퇴화에 관한 지금까지의
속설
이 대폭 수정돼야 할 필요를 느낀다고 말한다."중요한 것은 노화에 대한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바꾸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노인들을 우둔한 어린애로만 취급하는 끔찍한 사회에 살게 될 것이다."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04
공간이지만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는 편안한 공간이므로 사색의 장소로는 그만이다.
속설
에 따르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발상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따라서 많은 발명가들은 화장실에도 필기도구를 비치해 두고 있다.세번째는 말의 안장 위다. 말이 움직일 때 그 리듬을 타면 기분이 ... ...
마늘, 약으로 쓰일수 있나
과학동아
l
199010
알아두어야 할 사실은 '날마늘이 익힌 마늘이나 노화된 마늘보다 훨씬 효험이 있다'는
속설
은 잘못된 것이라는 점이다. 익힌다고 해서 마늘의 효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 따라서 날마늘의 역한 냄새가 싫은 사람은 익힌 마늘이나 노화된 마늘의 추출물을 먹어 마찬가지의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09
줄어든다는 설은 아직 보편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이 쉽게 잠든다는
속설
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로 스탠포드대학에서 수행한 실험을 통해 60세 이상 노인은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5분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면 수면을 지속하는 능력은 나이가 들어감에 ... ...
안전벨트에 관한 「미신」많다
과학동아
l
199008
점도 기억해야 한다.운전석에 앉는 사람은 핸들로 충격을 충분히 버틸 수 있다는
속설
도 매우 비과학적이다. 설사 시속20km의 속도로 달린다고 해도 충돌시에는 손과 발로 버틸 수 있는 힘보다 훨씬 큰 관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속 20km로 달리다가 순간적으로 멈춰섰을 때의 관성력은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