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이봉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정보지식관리담당관2001~2002년, 한성과학고2013~2011년, KAIST 생명과학과 학사2007~2010년, 파라과이 미시오네스주 중고등학교 과학교사(한국국제협력단 단원)2011~201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기술정책 석사2013~2017년, 미주개발은행 기술 협력사업 컨설턴트, 세계은행 정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자동차라는 운송수단이 생긴 이래로, 자율주행은 인간이 항상 꿈꿔온 궁극적인 기술이었습니다.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는 내 차로 원하는 곳에 안전하게 간다는 상상은 그만큼 매력적이었죠. 최근엔 이런 자율주행을 도로 위에서 실현하는 것을 넘어 공중으로도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일명 ‘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우주를 향한 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강렬한 섬광을 뿜는 ‘로켓’을 떠올린다. 우주에 무언가를 보내기 위해 지구의 중력을 박차고 오르는 강력한 로켓이 필요한 이유는 지구 주위를 돌기 위한 궤도 속도나 중력권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 속도에 빨리 도달하기 위해서다. 평균 고도 430km 상공을 ... ...
- [최신이슈] 모방 범죄 일으키는 유해 콘텐츠, 조정 효과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난 여름 한국은 대상을 정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이뤄지는 ‘무차별 범죄’로 두려움에 떨었다. 신림역 흉기 난동, 서현역 흉기 난동, 대전 교사 흉기 난동 등 약 5건의 흉기 난동 사건이 7~8월 사이에 벌어졌다. 치안 강국으로 통하는 한국이 어쩌다 이렇게 불안한 상황이 됐을까. 전문가들은 범 ... ...
- [인터뷰] 양자내성암호를 우리의 삶으로 이끄는 수학자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데미안 스텔레 프랑스 리옹 고등사범학교 전산학과 교수 “우리 팀이 만든 크리스탈 카이버(CRYSTALS-Kyber)와 크리스탈 딜리슘(CRYSTALS-Dilithium)이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에 중요한 보안, 효율성, 구현 용이성 세 가지 측면에서 최선의 알고리즘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좋은 알고리즘이에 ... ...
- [빅잼] 영화 ‘크리에이터’ 스스로 생각하는 AI는 인간적인가, 인간의 적인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어떨까요? (❋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저소득소외계층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최근 애플이 발표한 확장현실(XR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그리고 혼합현실(MR)을 포괄하는 기술적 개념) 헤드셋인 ‘비전 프로(Vision Pro)’처럼, 가볍고 휴대성이 강화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머리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개발로 VR과 AR이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시대가 다가왔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햅틱,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안녕! 난 과학마녀 일리야. 요즘 마땅히 입을 옷이 없지 뭐야? 마침 푸푸가 쇼핑 중이라길래 대신 쇼핑을 부탁했어. 텔레햅틱 기술을 이용하면 옷의 촉감도 멀리서 느낄 수 있거든! 온라인 쇼핑몰에서 옷을 만져보고 살 수 있다면 어떨까요? 온라인 박물관에서 유물의 감촉도 느껴볼 수 있다면 ... ...
- [에디터 노트] 30년 전 인터뷰과학동아 l2023년 09호
- 1993년 9월호, 정확히 30년 전 과학동아에 한 인터뷰가 실렸습니다. 당시에도 초전도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었던 ‘BCS 이론’에 한계가 있다며, 새로운 초전도 이론을 제시한 고(故) 최동식 고려대 교수와의 인터뷰였습니다.그는 초전도 현상이 일어날 때 전자는 파동적 성격을 띠고, 이런 특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천재 과학자들에게만 수여한다는ㅋ아인슈타인 메달이 지난 6월 한국 들어왔다는 소식에, 기자는 대전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한국형 전파망원경 간섭계(KVN) 관측실로 한 달음에 달려갔다. 메달이 한국에 오게 된 이유를 취재하기 위해(사실 그보다는 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