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오"(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먹고 자고 바이오해킹 하고?!집에서 요거트를 즐겨 먹는 친구들, 지금 바이오해킹 중입니다! 해킹이란 단어에 놀랐다면 진정하세요. 바이오해킹이란 ... 플랫폼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고요. 생물학 전문가와 시민과학자가 함께 노력한다면 앞으로 바이오해킹 기술이 더욱 발전할 거예요 ... ...
-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생각했지. 잘못 본 게 아니었던 거야?응. 7월 7일,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 캠퍼스 바이오프런티어 연구소의 물리학자인 오릿 펠레그 교수팀은 반딧불이가 동시에 불빛을 내는 과정을 연구해 발표했어. 연구팀은 2020년 6월에 그레이트스모키 산맥으로 가서 반딧불이 종인 ‘포티누스 ... ...
- [기획] 여행지까지 단숨에! 초음속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소닉붐 피해가 없도록 지상과 해상에서 초음속 비행 구간을 나누고, 친환경 바이오 항공유를 사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고도 밝혔답니다. ●인터뷰최정열(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장조원(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과 교수) “초음속 비행기 문제, 소음을 줄이는 설계와 가벼운 재료가 ... ...
- [할말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보호종이 되기도 전에 절멸할지도 몰라! 노랑배청개구리를 지켜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지구사랑탐사대 닥터구리 팀의 유다은 학생 연구원으로부터 노랑배청개구리를 지켜 달라는 간절한 메시지가 도착했어요. 노랑배청개구리는 닥터구리 팀 및 연구원들이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통해 익산에서 발견한 신종 개구리예요. 대체 노랑배청개구리에게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요? ...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방지하는 데 활용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답니다. 이경균(나노종합기술원 나노바이오기술센터 선임연구원) 식중독에 대비해 항상 음식을 먹기 전에는 항상 손을 깨끗하게 씻는 습관을 가지세요. 실온에 음식을 오래 내버려 두지 말고 잘 보관해야 하고요. 마지막으로 채소와 과일도 흐르는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자가면역, 염증성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동물을 이용해 만든 바이오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회사에서는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단백질 내 Neu5Gc의 함량을 측정해 정확히 표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오늘 소개할 논문은 주인-손님 화학(Host ... ...
- [특집] 탈날라~ 식중동 악당 소탕 대작전!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탈날라~ 식중동 악당 소탕 대작전!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을 잡아라?!Part1. [특집] 무더운 여름, 식중독균의 매운맛 좀 볼래?!Part2.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Part3.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Part4. [특집]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있다?! ...
- 내 이름은 파랑? 초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비그루 언어권을 결정짓는 원인은 아닌지 의심해볼 수 있다. 하지만 곽영신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색약이나 색맹을 제외하면 인종, 성별 등은 색 구분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라고 말했다.오히려 인류는 보편적으로 색 구분 능력이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 ...
- [기획] 논란의 중심에 서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키메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이야. 머리는 사자, 몸통은 염소, 꼬리는 뱀으로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섞인 동물이지. 하지만 키메라는 신화적 존재만은 아니야. 특히 최근에는 사람과 원숭이의 키메라가 등장하면서 과학자들 사이에 심각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지. 키메라가 대체 왜 논란 ...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바이러스 전파 막는 구조표면 구조 연구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적으로 퍼져나간 이후 쓰임새는 더 커졌다.호흡기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대부분은 공기 중에 날아다니는 비말(침방울)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