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별빛을 주로 추적할 수 있는 자외선으로 관측하면 두 개의 뚜렷한 나선팔이 보인다. 반면 나이 많은 미지근한 별빛 위주로 볼 수 있는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나머지 두 개의 나선팔도 보인다. 관측하는 빛의 종류에 따라 보이는 나선팔이 달라지면서, 네 개가 다 보이거나, 그중 두세 개만 보였던 ... ...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함께한 내 유년시절은 더욱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교사가 된 후에도 우리 반 학급 문고와 과학발명동아리 책꽃이에는 정기구독하는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 수학동아가 항상 꽂혀있다. 요즘엔 EBS 콘텐츠와 KBS 라디오 방송을 준비하며 과학동아를 더 주의 깊게 ... ...
- [과학뉴스] 렘브란트의 작품 에서 납 화합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아치 안에서 걸어 나오는 이 그림의 제목은 입니다. 1642년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반 레인이 국민병 대장과 그 대원들을 그린 단체 초상화죠. 1월 2일, 네덜란드 앤트워프대학교와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CNRS)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렘브란트의 작품 에서 납 화합물을 발견했다고 ... ...
- 좀비세포 없애 회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지난 12월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나이든 쥐와 젊은 쥐의 혈관에 튜브를 끼워 혈액을 반씩 공유시켰어요. 그 결과 나이든 쥐는 젊어지고, 젊은 쥐는 노화가 촉진되었지요. 연구 팀은 나이든 쥐의 혈액에 있던 노화세포가 혈액을 타고 전파되면서 젊은쥐가 빠르게노화되었다고 분석했어요.이때 ...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3.14, r=반지름)을 이용해 구합니다. 4×3.14×102에 머리의 반 정도만 머리카락이 자라므로 반으로 나누면, 머리카락이 자라는 부분의 넓이는 628cm2(제곱센티미터)가 됩니다. 이제 자기 머리카락이 나는 모낭의 간격을 거울로 확인합니다. 기자의 모낭 간격은 약 1mm(밀리미터)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가로,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장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추진 장치 없이 단순 바람의 흐름을 이용해 지구 반 바퀴를 돈 풍선으로 특정 군사시설을 정찰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다만 미국까지 풍선이 날아가게 내버려 둔 이유가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비용↓ 정확도↑우주 장비 성능 검증에 ...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않잖아요. 개발자가 되겠다고 했을 때 주변 반응은 어땠나요?신기하다는 반응이었어요. 큰 어려움은 없었지만, 선배 여성 개발자 분을 만나기 어렵다 보니 어떤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을지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어요. 늘 걱정하면서도 ‘내가 잘하면 되지’라고 생각하는 편이라서, 일을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생각나는 어마어마한 한파는 과거에 비해 그 맹위가 약해져 지금은 한파일수가 과거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일년에 겨우 하루 이틀 정도다. 하지만 북극에서 갑자기 내려오는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 바다를 건너오는 날은 여지없이 폭설이 내린다. 이 때문에 며칠 되지 않는 한파가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결과는 놀라웠다. 이민을 떠난 10마리 중 7마리가 출신 그룹이 선호하던 것과 정반대 색깔의 팝콘을 거리낌없이 먹었다. 새로운 환경에 맞춰 선호하는 팝콘 색을 바꾼 것이다. 이 실험 결과는 앞선 미성숙 개체들의 실험 결과보다 더 중요하다. 이민을 간 수컷 성체들이 그동안 보유했던 정보를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않았다는 건 아니다. “이그노벨상은 평소에는 알리기 힘든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저희 연구도 수상을 통해서 전 세계에 알려질 수 있었어요.” 이그노벨상은 아마도 재능과 성공에 관해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 이 연구의 의외성을 상찬하기 위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