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장
직업
지위
취직자리
구직
밥줄
식도
d라이브러리
"
일자리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한 자금을 지원해주는 것이다. 더 적은 비용으로 우주개발을 하고 항공우주분야의
일자리
도 창출하겠다는 목적이다. 우주왕복선 같은 기존 저궤도 연구를 기업에 맡기는 대신 NASA는 화성과 소행성 탐사 연구에 집중할 예정이다. 지금 지구궤도는 NASA 같은 국가우주기구의 연구무대에서 민간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경제성장을 이끌어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했다”고 말했다. 실제 1980년대 이후 미국의
일자리
증가 대부분을 신생기업이 창출했다. 벤처야말로 나라에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어 나라를 풍요롭게 만드는 도전이라는 것이다. 서울대 학생벤처네트워크를 비롯한 전국의 수많은 학생벤처동아리의 활약이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볼 수 있다. 법률회사에서 해당 사건에 적당한 판례를 찾는일도 할 수 있다.왓슨의
일자리
는 조만간 생길 전망이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 케네스 마크 콜비가 정신질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만든 ‘페리’라는 프로그램이 취업에 성공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페리는 환자를 상담해주는 역할을 했는데,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가족과 가축을 지키기 위해 총을 구할 수밖에 없었다. 점점 큰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일자리
를 찾아 남아공으로 이주한 수백만 명의 노동자들이 현지인들에게 공격 받는 경우도 잦아졌다. 어떤 이는 산 채로 불에 타죽었다. 우리는 이 싸움을 지켜보면서 죄책감을 느꼈다. 이들이 왜 목숨 걸고 전쟁을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말했다.안데르손 부총장은 최근 한국 정부가 20~30대 신진과학자 100여명에게 5년간
일자리
와 연구비를 제공하는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를 시작한 데 대해 “젊은 과학자의 연구를 지원하면 매우 창의적인 주제가 나올 것”이라면서 “한국의 첫 노벨상 배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결국 마지막에 남은 것은 멸종 위기에 처한 대서양대구와 대구잡이 금지령, 그리고
일자리
를 잃은 어부들뿐이었다.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는 일은 순간이지만 이를 되돌리는 일은 너무나도 힘들다는 사실을 충분히 경험해 왔다. 대서양대구도 우리나라의 대구처럼 생존의 길을 맞이할 수 있을지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고가 났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토목에 IT를 접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
가 많이 생기는 효과도 있다. 방대한 시설 관련 정보를 DB화해야 하고 수량이나 풍속등 각종 자연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처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아직까지는 이 과정에 들어가는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아무런 일도 하지 않은 채 멍하니 앉아 있는 젊은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만큼
일자리
가 없다는 증거다. 부패한 정치인을 비롯한 이곳 상류층 대부분은 서민들의 어려운 생활에 관심이 없단다.찻길 옆에 들어선 재래시장에 잠시 내렸다. 무작정 사진기를 들이대면 현지인들은 몹시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잇기 어려운 주민들의 생존권도 중요하다. 따라서 극빈층의 주민들에게 직업교육과
일자리
를 주는 등의 지원책과 더불어 정확한 멸종위기종 보호전략을 토대로 생태 보호대상지역을 선정하는 일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데 논문 내 졸업하기 쉬운 실험실’을 찾아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일자리
를 잡을 때에도 박사 과정 또는 박사후 과정 때 어디에 논문을 냈느냐가 결정적인 요인인 게 현실이다. 또 교수나 연구책임자가 된 뒤에도 연구비를 따내기 위한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때 유명저널에 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