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 체험실] 지금 몇 시? 햇빛만 있다면 언제든 알 수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분침도, 건전지도 필요 없는 손목시계가 있다?!혹시 미래에서 온 시계냐고요?아니요. 저 멀리 과거에서 온 손목 해시계랍니다. 시침, 분침을 대신해 그림자가 시각을 알려주지요! 시계 중의 시계는 바로 나, 해시계! 시계를 만들 때 필요한 건 무엇일까요? 1부터 12까지 적힌 동그란 시계판, 시침,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빨간 망토, 수수께끼를 맞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어떻게 답을 알았냐고요? 바로, 이 초대장을 보낸 사람이 저희 할머니기 때문이에요! 저 멀리 집 앞에서 할머니가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 보여요. 얼른 할머니의 생신파티를 시작해야겠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끙, 끙…. 아이고, 힘들어!”여유로운 한낮,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선선해진 날씨를 즐기며 산책을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어디선가 끙끙 앓는 소리가 ... 잡으며 외쳤어요.“그래도 머리가 빠진 덕분에 머리카락을 엄청 많이 기부할 수 있겠는데요? 저희가 도와드릴게요. 같이 가시죠 ...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엄청 짧고 아~주 긴 단위 여행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안녕하세요, 저는 은하수 여행사의 안내원 조현영입니다! 오늘 우리는 출발 장소인 이곳에서부터 1cm, 1m, 1km씩 차근차근 나아가 우주 건너편의 별까지 한 번에 둘러보는 여행을 할 예정이랍니다. 그래서 이곳이 어디냐고요? 하하, 여기는 사실 여러분의 몸속이에요. 아주 작은 것부터 보여드리려고 ... ...
- [인터뷰] 관찰기록으로 정형행동 하는 동물을 돕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받아 의미 없는 비정상 행동을 반복하는 정형행동을 한다면 영상으로 기록합니다. 저는 우동수비대 활동을 하면서 동물원의 동물들을 보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동물들이 사는 환경과 복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물그릇은 깨끗한지, 사람들의 시선을 피할 은신처가 잘 마련되어 있는지, 정형행동이 ... ...
- [똥손 수학체험실] 소수를 더하고 빼는 나만의 팝업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시원한 계곡이다~! 네? 이 계곡에는 모두 더해서 8 이 되는 물고기만 모일 수 있다고요? 저~기 0.5와 2.5 물고기가 있으니 이제 5만큼 모이면 돼요! 어라, 나무에는 소수 열매와 소수 꿀벌도 보여요. 여기는 더하고 빼는 ‘소수 동산’이라는 군요! 접었다 펼치면 동산이 짠~ 나타나는 나만의 팝업북을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말불버섯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쓰였는데, 특히 댕구알버섯은 유럽에서 전쟁 전에 많이 채집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요. 저는 가끔 길을 걷다가 성숙한 복균류를 발견하면 괜히 쿡쿡 건드리며 포자를 터뜨리곤 합니다. 푹푹 퍼져 나오는 올리브색 포자들이 수놓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다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지거든요. 버섯도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쌍둥이 판다 탄생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젖병을 물고 저 사랑스러운 얼굴을 하는 동물은 도대체 누구냐고?! 나 마이보가 수컷 판다 러바오와 암컷 판다 아이바오 사이에서 탄생한 복슬복슬 흰털의 아기 판다 영상을 야심차게 준비했어! 과학자들을 분노케 하는 음모론, 당뇨의 역사까지 과학적인 이야기도 가득 가져왔다고! 쌍둥이 판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미운 오리도 사랑받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저기 아기 오리들 좀 봐! 너무 귀엽다!”탐정 사무소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강가에서 헤엄치는 새끼 오리들을 발견하고 손 ... 탐정은 강에서 헤엄치는 백조들을 가리키며 말했습니다.“감사합니다. 꿀록 탐정님! 저도 이제 진정한 제 가족을 찾을 수 있게 됐네요 ... ...
- 사이 좋은 분수 남매의 몰래 주기 대작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빵집’에 쌀가루가 얼마나 남았는지 세어 보았어요. “이 장독대에는 쌀가루가 3/5만큼, 저 장독대에는 4/5만큼 남았으니…. 두 쌀가루를 한 장독대에 합쳐 볼까?” 같은 시각, 분나 역시 ‘분나네 찰떡같은 떡집’에서 쌀가루가 얼마나 남았는지 세고 있었어요. “어제 아침엔 쌀가루가 4와 3/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