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탐사한 생물 기록이 연구에 쓰인다! “새가 좋아하는 공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구사랑탐사대 연구자들은 대원들이 탐사한 기록을 받아 연구에 활용하고 있어요. 라이노비틀즈와발자국팀 곽수진 연구원은 새와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공원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곽수진 ... ...
- 기후위기가 뱃길을 바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빙하가 녹으면 북극으로도 배가 지나다닐 수 있기 때문이에요. 2022년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아만다 린치 교수는 “북극 노선은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노선보다 30~50% 짧고, 통과 시간을 약 14~20일 단축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북극 해역이 따뜻해지면 선박이 배출하는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같은 극피동물인 성게와 해삼에도 나타나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구에는 약 34개의 서로 다른 동물 문이 살고 있으며, 이들을 연구하면 인간 질병에 대한 접근 방식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밝았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1년을 세고, 그 1년을 ‘한 해’라고 부르는 게 무척 재미있죠. 새삼 인간들이 해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느껴지는 지점입니다. 물론 기자는 1월 1일 일출을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대신 전국에 퍼진 수많은 ‘새해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같은 온실가스다. 인간 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는 지구에 따뜻한 열을 잡아둬 지구 기온을 상승시킨다. 이산화탄소를 아예 배출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세계 각국은 탄소 배출량은 줄이면서 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실천하려 애쓰고 있다. ... ...
- [특집] 가뭄에 막힌 내 택배? 파나마 운하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 반대편 물건을 집 앞까지 배송받을 수 있는 해외 직구로 물건을 잔뜩 주문했어.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도 택배가 오지 않네? 태평양 건너 중남미에 위치한 작은 나라, 파나마에 닥친 기후위기 때문이라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가뭄에 막힌 내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먼 우주를 여행하는 우주선과는 어떻게 교신할까요? 2023년 11월 16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보낸 레이저를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서 수신하는 데 ... 도전해 성공한 거예요. 이전 최고기록은 2021년 발사한 아르테미스 2 우주선이 성공한 달과 지구 사이(약 38만 km) 교신이었답니다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인 ‘리그노샛(LignoSat)’을 2024년에 지구 궤도에 올릴 예정이라고 발표해 최근 화제가 됐다. 무라타 교수는 JAXA와의 인터뷰에서 “JAXA의 큐브샛(초소형위성) 방출기구 J-SSOD에 리그노샛을 탑재해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CNN과의 인터뷰에서는 ...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수많은 작은 파편을 만들어 냈지요. 연구를 이끈 베른 자연사박물관의 베다 호프만 지구과학국장은 “선사시대에는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철이 귀해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을 재료로 활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름 맞냐고요? 네! 모두 종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심사숙고해 지은 ‘학명’이랍니다. 지구상에 어떤 별난 학명이 있는지 소개할게요! 학명, 이렇게 짓는다! 생물은 국가와 언어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려요. 우리나라에서는 ‘고양이’라 불리는 생물이 영어권 나라에서는 ‘cat(캣)’,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