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97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이로 '접힘' 불안정한 단백질 구조 회복 입증…희귀질환 치료 열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보호제' 가능성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벤 레너 스페인 바르셀로나 게놈조절센터(CRG)
교수
연구팀은 하나의 약물이 다양한 단백질 돌연변이를 동시에 안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때 특정 돌연변이에 맞춘 '맞춤형 신약' 대신 단백질 전체를 안정화하는 새로운 ... ...
인플루엔자 예방·치료 위한 잠재 치료 표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조절을 통한 면역세포 기능 조절'이라는 새 전략이 제시됐다. 서울대는 박성규 약대
교수
연구팀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CD4+ T세포 분열에서의 PANK4 역할을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에 온라인 게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바이러스의 ...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신호 1년 이상 기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성능을 유지했다. 이는 기존 BCI 기술의 가장 큰 한계를 뛰어넘는 성과로 평가된다. 서
교수
는 “TAB 코팅은 원치 않는 부착은 차단하고 원하는 상호작용만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지능형 기술"이라며 “인간 뇌와 전자 시스템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통신·금융 해킹에 의료데이터도 우려?…"안전한 양질 데이터로 AI바이오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검증함으로써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천연물 과제를 이끄는 이도헌
교수
는 "천연물 데이터를 통합·표준화해 1600여 건의 천연물 데이터를 K-BDS에 등록하고 천연물 데이터 표준화 위원회를 운영하며 천연물 데이터 표준안을 마련했다"고 했다. 또 퇴행성 뇌질환 특이적 소재 ... ...
수명 3배 늘린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양창덕·신승재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팀과 민한울 고려대
교수
팀이 액상 첨가제인 'tBP(4-tert-butylpyridine)'를 대체할 수 있는 고체 첨가제 '4CP(4-(N-carbazolyl)pyridine)'를 개발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전지는 26.2%의 광전변환 효율 ... ...
불필요한 정보 잊고 중요한 정보 공유 알고리즘으로 자율로봇 효율 18%↑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교통 관리나 대규모 탐사·구조 현장에서도 빠르게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
는 “필요 없는 정보를 잊고 중요한 정보만 남겨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사회적 원리를 모방했다”며 “이번 연구는 피지컬 AI가 인간처럼 상황을 판단하며 움직이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 ...
GPS 시간 못믿겠다…대안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원자핵을 이용해 구현하는 핵 시계 등도 초정밀 시계 후보로 연구되고 있다. 벨루
교수
는 “5G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서 6G로 전환되면 더 많은 데이터가 더 빠른 속도로 전송돼야 하기 때문에 지금보다 시간 동기화 능력이 향상돼야 한다”며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 ...
거시세계에서 '양자 스퀴징' 첫 증명…더 정교한 양자센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근본적 문제를 탐구하는 새로운 실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이카와
교수
는 구현한 나노입자 시스템이 "양자역학과 고전역학 사이의 전환 과정을 탐구하고 미래에 새로운 형태의 양자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doi.org/10.1126/science.ady465 ... ...
AI가 설계한 최초 바이러스, 항생제 안듣는 대장균 사멸 유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우려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 합성생물학자인 커스틴 괴프리히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교수
는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연구가 이중성을 지닌다는 딜레마는 AI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라며 “생물학에서는 항상 악용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doi.org/10.1101/2025.09.12.6 ... ...
[과기원NOW] UNIST, 26~27일 창의설계 축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울산과학기술원(UNIST) 창의설계 축전 포스터.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6~27일 ‘2025 UNIST 창의설계 축전’을 연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축전은 UNIST가 축 ...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이지영 UNIST 특임
교수
, 유튜브채널 피식대학, 이세돌 UNIST 특임
교수
등의 강연도 진행된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