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뉴스
"
단일
"(으)로 총 1,34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전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난청 관련 주요 유전자 ‘GJB2’ 등을 ‘
단일
유전자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로 확인한 뒤 타깃패널검사, 전장엑솜검사로 더 넓은 범위의 유전자들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전장유전체분석을 시행했다. 단계적 분석 결과 감각신경성 난청 39 ... ...
수학과 생명과학 융합해 세포 데이터 분석 30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단일
세포 수준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기술인 '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법(scRNA-seq)'은 현대 생명과학 연구의 핵심 도구다. 유사한 유전자 발현 특성을 가진 세포들을 그룹으로 묶는 클러스터링 작업은 암세포를 식별하거나 새로운 세포 유형을 발견하기 위한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재발 미리 본다…'백혈병 모사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탐지하다가 표적을 감지하면 이동 속도를 늦추고 접촉한 뒤 세포를 제거하는 전 과정을
단일
세포 수준에서 추적한다. 기존 동물모델이나 일반 실험세포로는 구현할 수 없던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과 암세포 제거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백혈병 모사칩을 사용한 실험에선 완전관해, 치료저항, ... ...
美 사상 최대 꿀벌 집단폐사 원인은 '살충제 내성' 기생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직전 겨울에도 상업용 꿀벌의 55%가 사라져 어려움을 겪었다. 응애는 꿀벌에 위협적인
단일
RNA 바이러스를 확산한다. 연구팀은 조사한 거의 모든 꿀벌 개체에서 바로아응애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를 확인했다. 문제는 바로아응애가 현존하는 대부분의 응애 살충제에 내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 ...
360도 파노라마 사진 한 장으로 실내 공간 3D 정보 추출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부터 16일 미국 내슈빌에서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CVPR2025'에서 소개됐다. [연구그림]
단일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깊이, 법선 등 공간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나타낸 모식도.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보중익기탕, 면역세포 간 ‘소통’ 조절해 면역항암제 효과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등 주요 종양면역 경로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이토카인 변화는
단일
세포 수준을 넘어 면역세포 전체 네트워크의 조절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보중익기탕이 면역 체계 전반의 균형 회복을 유도하는 전신적 면역조절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세포 기능 AI로 재현한 '가상세포' 개발에 뛰어드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개발을 서두르기 위해 연구자들은 '
단일
세포 시퀀싱' 데이터 세트를 개발하고 있다.
단일
세포 시퀀싱이란 단 하나의 세포에서 나오는 유전자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개별 세포 하나하나의 유전자 활동을 포착해 AI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방대한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다. 24일(현지시간) ... ...
"한국이 AI·양자 다음 못보는 이유는 기초과학이 약하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물질이다. 탄소(C)가 육각형으로 배열된 대표적인 2차원 물질 그래핀과 비슷하다. 흑린은
단일
원소로 이뤄지고 구조가 단순해 물리 현상을 관찰하기 용이하다. 김 교수는 "박사후연구원 시절 그래핀이 주목받자 비슷한 물질인 흑린을 연구주제로 잡은 것"이라며 "처음엔 학생 한 명의 학위 주제 ... ...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왜 메스꺼울까…"중추신경 직접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활용되고 있다. 특히 위고비는 임상시험에서 68주간 약 15%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주며
단일
성분으로는 가장 강력한 비만 치료제로 꼽힌다. 연구팀은 세마글루타이드를 투여한 생쥐 뇌에서 특정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Adcyap1+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다시 자극하거나 제거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오르면 1인당 120Kcal '식량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6.21
때문에 인간 개입이 미칠 영향에 대한 예측치가 제각기 다르게 도출돼왔다.
단일
지역이 아닌 광범위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예측 결과가 제시됐다. 앤드류 홀트그렌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농업·소비자경제학과 교수 연구팀은 세계 주요 작물 6종의 생산량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