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77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얻었다. 충북 청주 소로리 입구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발견을 기념하는 볍씨
모양
의 기념탑이 세워져 있다. 과학동아 제공 ● 낟알을 일부러 떼어 낸 흔적에 주목 이융조 교수는 2003년 6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5회 세계 고고학대회(WAC-5)에서 이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고 마침 ... ...
[과기원NOW] KAIST, 탄소나노튜브 고정밀 가공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6월 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탄소(C) 원자가 육각형 고리
모양
으로 배열돼 긴 대롱
모양
을 한 탄소나노튜브는 강철보다 강도가 높아 반도체, 군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기능성 물질을 균일하게 코팅해야 하는 것이 해결 과제였다. 연구팀은 ... ...
원자핵은 어떻게 생겼을까...고에너지 핵충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때 발생하는 입자의 흐름과 운동량을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모양
에 대한 유체역학적 모델링에 적용해 원래 충돌했던 원자핵의 형태에 도달했다. 연구팀은 이번 시각화 기술을 위한 유체역학적 모델링을 만드는 데는 2000만 시간 이상의 컴퓨터 작업을 통해 1000만건 이상의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정육면체
모양
의 큐브샛(CubeSat)인 리그노샛은 나무를 의미하는 라틴어 '리그넘(lignum)'에서 이름을 땄다. 한 변의 길이가 약 10cm이며 무게는 1kg으로 작다. 개발 기간은 약 4년이다. 리그노샛은 ISS에 도착하면 한 달 뒤 우주로 ... ...
색깔 변화만으로 건물 노후화 진단하는 구조색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색 발현 자체를 제어할 수 있는 필름도 개발했다. 투명 필름에서 특정 조건에서만
모양
이 나타나도록 해 위조 방지 등 보안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윤 책임연구원은 "필름 나노광학 센서 기술을 활용하면 건축물과 시설물의 노후화 진단이 획기적으로 간편해진다"며 "정확도 높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이 쉽게 부러지는 이유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세포소기관중 하나인 소포체다. 소포체는 세포의 핵을 감싸는 핵막이 연장돼 그물
모양
으로 생성된 구조다. 앞서 소포체가 식물의 세포들을 연결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소포체가 어떻게 형성되고 식물 세포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지는 그간 밝혀지지 않았다. 지치앙 리 프랑스 보르도대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김 교수는 "오히려 정당별 지지 수준에 따라 편도체 부피가 거꾸로 된 'U자' 그래프
모양
을 띠는 것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극단적인 진보주의자나 극단적인 보수주의자는 편도체 크기가 작았고 중도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편도체 크기가 큰 경향성으로 해석될 수 있기 ... ...
실험실에서 '원시 세포막'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외부 환경과 구획을 만들며 '원시 세포'를 형성했다. 탄소 수를 6~7개로 줄이면 세포
모양
을 만들지 못했다. 연구팀이 만든 원시 세포의 세포막은 세포 안쪽에 분자와 이온 등을 가둘 수 있었다. 원시 세포 내부에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최초의 효소로 예상되는 RNA를 넣자 RNA가 화학 반응에서 촉매로 ... ...
100년간 교과서에 있던 '브레트의 법칙'에 금 갔다...신약 개발 쉬워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기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배열을 특정한
모양
으로 제한하는 화학 규칙이 있다. '브레트의 법칙(Bredt's rule)'으로 불리는 이 규칙은 지난 100년간 교과서 한켠을 자리잡을 정도로 공고했다. 과학자들이 브레트의 법칙을 우회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 ...
"나노유연소자로 패치 만들어 부정맥 환자 치료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 디스플레이다. 우리 주변 사물은 대부분 잘라서 펼쳤을 때 평면이 되는 실린더
모양
물체가 아닌 구(sphere) 형태다. 유선형인 자동차 내벽을 디스플레이로 만들거나 옷감 등에 적용하려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구현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나노물질인 퀀텀닷(QD, Quantum Dot)을 활용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