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비행사의 적, 우주방사선 잡는 우주복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중성자를 충돌시켜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 문제는 기존 소재가
부피
가 크고 무겁다는 점이다. 실제 우주인이 우주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볍고 강하며 내열성이 뛰어난 중성자 차폐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차세대 나노소재로 꼽히는 '질화붕소나노튜브(BNNT)'에 ... ...
韓 과학자들, 암흑물질 유력 후보 '액시온' 수사망 좁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고주파 신호를 탐색하려면 주파수를 증폭하는 공진기의
부피
를 줄여야 한다.
부피
가 줄면 데이터를 얻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연구팀은 원통형 공진기를 피자 조각처럼 나눈 '다중방 공진기'를 고안했다. 실험 결과 액시온이 질량 21.86~22.00µeV 범위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 ...
DNA 컴퓨팅 나올까…데이터 저장·삭제·검색·이동 다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00, 01, 10, 11을 각 염기로 치환한 뒤 데이터를 DNA 분자에 저장하는 것이다. DNA는 작은
부피
에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밀도 저장이 가능하고 오랫동안 안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전통적인 컴퓨터가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 및 이동, 읽고 ... ...
인공와우 이식, 청력뿐 아니라 뇌 기능 회복도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청각 기능 회복 정도와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점도 확인했다. 뇌 상측 측두이랑의
부피
증가는 수술 후 호전된 단어 인식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능력 향상이 뇌 청각 중추 구조의 회복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박 교수는 “나이가 들어 청력이 떨어지면 단어 ... ...
구명조끼를 입으면 왜 몸이 뜰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7
있게 도와줍니다. 또 구명조끼를 입으면 순간적으로 우리 몸의
부피
가 커집니다. 물체의
부피
가 커지면 물속의 수많은 물 분자가 물체와 부딪치게 되는데 이 과정을 거치면서 물 분자가 물체를 위로 계속 밀어내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우리는 구명조끼를 입으면 물에 뜰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
뜨거워지지 않는 '스마트워치'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기체나 액체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부피
가 커져요. 원자의 개수가 그대로인데
부피
가 커지니 빽빽한 정도를 나타내는 밀도가 낮아집니다. 밀도가 낮은 기체와 액체는 가벼워서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차가운 기체와 액체는 아래로 내려가요.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열이 ... ...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공간을 메꾸는 표준 비율을 '균형 임계값'으로 정했다. 균형 임계값에서 양극 입자의
부피
비율은 74%, 고체 전해질은 26%다. 이를 기준으로 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 사이의 설계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양극 입자와 고체 전해질이 섞이며 입자끼리 맞닿는 밀도는 '투과 임계값'으로 정했다. ... ...
5년만의 40도 돌파…'사상 최악' 2018년 기록 넘어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내리쬐는 햇볕에 공기가 달궈지면서 기온이 높다. 단열승온은 단열 상태에서 공기의
부피
를 수축시키면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기록적으로 무더웠던 2018년 여름에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났다. 당시에는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더 강하고 폭넓게 발달했다. 또 2018년 7월 24일 제 ... ...
재생에너지로도 공기중 이산화탄소 효율적으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가동이 가능할 정도다. 연구팀이 개발한 탄소 포집기는 기존 포집기보다
부피
가 작아 적용할 수 있는 영역도 넓다. 연구팀은 "실험실 수준에서 하루 약 1~3kg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하루 1톤 규모로 키운 다음 화력발전소, 공장 등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에도 적용할 ... ...
분자로 원자 수준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보려면 관측 도구 역시 작아져야 한다”며 “물질을 시각화하는 기존 기술은 거대하고
부피
가 큰 탐침을 사용하여 작은 원자의 특성을 분석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배유정 스위스 연방 재료과학기술 연구소 그룹리더는 “물질을 관찰하고 연구하기 위한 도구의 혁명은 축적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