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뉴스
"
사슬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발병 시기, AI가 예측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증상으로 꼽힌다.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선 공통적으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사슬
모양으로 엮이는 올리모머화가 관찰된다. 또 건강한 뉴런활동을 돕는 타우단백질이 잘못된 모양으로 쌓여 축적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뷰브레인의 치매예측 AI는 MRI와 CT영상을 통해 두 단백질의 축적과 잘못된 ... ...
[공감! 과학용어] ⑥커뮤니케이터들도 어찌할 수 없다...설명 부족한 용어들
2022.12.08
과정에서 다른 전문용어가 사용돼 설명이 힘든 사례로 소개됐다. 담당자는 “‘분지
사슬
아미노산(BCAA)의 아민기를 α-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함’이라고 부가 설명을 했지만 쉽고 간략하게 풀어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에 응한 담당자들은 용어를 번역하는 ... ...
멀고 험한 치매 정복...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임상3상 결과 엇갈린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단백질 가설’을 뒷받침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뇌 속에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사슬
처럼 묶이는 ‘올리고머’ 형태가 알츠하이의 원인이 된다는 이 가설은 앞서 지난 7월 핵심적인 관련 논문의 사진 자료 일부가 조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후속 연구를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2] "지구 살리려 우주 가는 것...아태지역 주목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우주산업 생태계를 강화한 것”이라며 “각국의 우주 역량을 모으고 가치
사슬
을 형성해야 지속가능한 우주개발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지속가능성은 지구로 이어진다. 이시다 대표는 “지구를 살리기 위해 우주로 가는 것”이라며 “인류가 맞닥뜨리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를 포함해 ... ...
수염고래, 매일 미세플라스틱 43kg 먹어..."사람도 섭취한다는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99%를 차지했다. 연구팀은 “사람이 먹는 멸치나 정어리가 먹이로 삼는 크릴새우는 먹이
사슬
의 가장 아래에 위치해있다”며 “결국 사람도 많은 양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통상 직경이 1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5mm 크기의 플라스틱을 ... ...
마구 변형해도 전기 통하는 신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가져야만 전기전도성이 나타난다고 생각해 왔다. 연구팀은 탄소와 황으로 이뤄진
사슬
형태에 니켈 원자를 연결해 만든 신소재가 뛰어난 전기전도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놀라운 사실은 이 물질의 분자 구조가 금속과는 달리 무질서하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뒤죽박죽 섞인 무질서한 ... ...
토양에서 9배 빨리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6
향상됐다. 고분자
사슬
은 고분자 제조 원료물질이 수백~수만 개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사슬
모양의 거대 분자다.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고분자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생분해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온결합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기존 생분해성 고분자와 새로 만든 생분해성 고분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밝히는 데 성공했다. 단백질 구조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사슬
이 접힌 결과로, TAS2R46은
사슬
이 모두 일곱 차례에 걸쳐 세포막을 관통해 박혀있다. 이 가운데 세포 밖을 향한 면이 움푹 들어가 있는데, 바로 쓴맛 분자가 들어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밝혀졌다. 스트리크닌이 이 공간에 들어오면 ... ...
"韓로봇산업 수요 높지만 글로벌 경쟁력은 주요국 중 최하위"
연합뉴스
l
2022.09.15
기업별로 전문 영역에서 특화된 뒤 상호 분업하는 경쟁국과 달리 한국은 각 기업이 가치
사슬
전(全) 단계를 담당해 비용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특히 소프트웨어 인력 부족으로 하드웨어 전문가가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책임져야 하는 등 분업구조 ... ...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연합뉴스
l
2022.08.26
아쿠아포린은 물의 수송을 담당하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도 마찬가지로 긴
사슬
구조의 말단에 조그만 꼬리가 달린 형태로 종종 발견됐다. 처음엔 단백질 합성 과정의 단순한 오류로 치부했다. 다시 말해 '번역초과 전사'의 결과물로 본 것이다. 하지만 아쿠아포린-4처럼 '번역초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