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뉴스
"
용암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북반구와 남반구 지형도 매우 비대칭적이어서 일주 여행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북쪽은
용암
이 흘러내려 평평하고 남쪽은 소행성이 충돌한 듯 분화구 가 수두룩하다. 화성의 표면 - pixabay.com 제공 ○ TIP : 현지 생명체를 만날까 화성 여행이 ‘핫’한 이유는 현지에서 생명체를 만날지도 ... ...
갈라파고스 화산 폭발… ‘핑크 이구아나’ 서식지 위협
동아일보
l
2015.05.27
일 이사벨라 섬 북단의 울프 화산에서
용암
과 흰 연기가 분출되고 있다. 다행히 흘러나온
용암
은 아직까지 이구아나 서식지로는 흐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갈라파고스 공원 측이 밝혔다. 갈라파고스 제도=AP 뉴시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 ...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일본 후지산, 미국 옐로스톤 등과 함께 세계적으로 가장 위험한 화산으로 꼽힌다.
용암
이 조금씩 흘러나오는 활화산보다 백두산처럼 땅속에 마그마를 잔뜩 품고 있으면서 화산활동만 멈춘 ‘조용한 화산’이 훨씬 위험하다. 언제든지 큰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백두산이 마지막으로 ... ...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칼리스토’의 모습을 포착하는 데도 성공했다. 특히 이들 위성 가운데 이오에서는
용암
이 300km 가까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찍어 위성의 화산활동을 처음 확인했다. 보이저 1호가 행성 사이를 자유자재로 누비며 탐사할 수 있었던 건 ‘중력 보조’라는 항법 기술 덕분이다. 중력 보조는 탐사선의 ... ...
‘최신
용암
’ 흔적…“한라산은 활화산” 증거 찾았다
채널A
l
2014.07.15
수십 차례 반복돼 만들어졌는데 특히 중심부에 한라산이 형성된 이후에도 크고 작은
용암
분출이 제주도 전역에서 게속 이어져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팀은 화산 활동이 더 가까운 3~4천 년 이내에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언제쯤 다시 분출이 일어날 지는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 ...
제주는 젊고 역동적이었다
과학동아
l
2014.07.15
전에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면서 “사람이 살던 청동기 시대에 제주에 뜨거운
용암
이 흘렀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퇴적층에 포함된 석영의 나이를 계산한 결과 동일한 값을 얻었다. 석영은 땅에 묻힌 이후 특유의 ‘빛(루미네선스) 신호’를 축적하는데, 이 신호가 ... ...
화산 폭발시 가장 위험한 것은
용암
? 아니 ‘잿빛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여기는 불덩어리 암석은 분화구 근처가 아닌 이상 궤적이 예측 가능해 피할 수 있으며,
용암
도 경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점성 때문에 속도가 시속 20km에 불과해 큰 위협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1984년 필리핀 마욘 화산이 폭발하는 장면. 산비탈을 타고 흘러내리는 잿빛의 화쇄류는 화산 ... ...
컬링 경기에 쓰이는 스톤 재질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존재하는 2500여 광물 중 장석과 석영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현무암과 함께 마그마와
용암
이 식어 굳어진 ‘화성암’이지만, 급격하게 식는 과정에서 세립질의 화산암으로 변한 현무암과 달리 광물 입자가 큰 조립질의 심성암으로 분류된다. 화강암을 이루는 석영과 장석은 광물의 굳기를 ... ...
비행기야, 화산재 걱정하지마
과학동아
l
2014.02.12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그로부터 1시간 만에 분화구에서 6km 정도 떨어진 열구에서
용암
과 화산재가 쏟아져 나왔다. 연구팀은 두 번의 폭발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해 상관관계를 찾았다. 센서의 이동 속도는 지하 마그마의 압력을 알려주고, 압력이 높을수록 화산재 기둥이 높이 ... ...
[제주]제주 여름철새 ‘팔색조’ 개체수 크게 늘었다
동아일보
l
2013.10.16
년대는 해발 200m 이상 산간 일대가 목장용 초지 등으로 개발됐으며 계곡 주변이나 곶자왈(
용암
암괴 위에 형성된 자연림 지역) 등은 땔감용 벌채로 숲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팔색조 서식지는 해발 1600m인 한라산 영실 기암 인근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이후 50년 동안 계곡과 곶자왈 등을 중심으로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