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들의 주사위' 가능할까…진짜 랜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5.09.13
양자역학적 현상은 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일어납니다." 주사위 놀이.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 보이지 않는 난수, 갈수록 중요해진다 박 책임연구원 팀에서 만든 방식 말고도 양자역학적 현상을 다양한 원리로 응용해 QRNG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당연히 세계 각국은 여러 장점이 있는 QRNG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을 생각하는 '지혜로운 사람'
2025.09.13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많은 학자들은 지적 겸손, 자신의 의견이나 지식이 틀렸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줄 아는 것을 ‘지혜로운’ 사람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여긴다. 여기에는 자신의 지적 능력이나 생각에 대해 반추하고 생각해 볼 줄 아는 메타인지적 사고력, 어떤 상황적 맥락에서 대체로 ... ...
[킁킁과학] 신선하지만 누군가에겐 역겨운 오이 냄새
과학동아
l
2025.09.13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더운 여름날에는 오이가 먹고 싶다. 어린 시절 더위를 먹고 고생할 때 엄마가 잘라 준 오이를 먹고 회복한 이후로 오이는 여름을 이겨낼 음식이 됐다. 그런데 세상엔 나와 반대인 오이 혐오가도 있다. 오이 향 제품은 물론 심지어 참외와 수박까지 멀리하는 사람들이다. 오이의 ... ...
소송전 비화 '천리안5호' 위성사업…선정기업, 과도한 기술이전 요구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천리안위성 5호'
이미지
. 기상청 제공 국내 최초 민간 주도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문제제기가 '소송전'으로 비화한 가운데 사업자로 선정된 LIG넥스원이 위성 기술을 보유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과도한 ... ...
CAR-T치료, 고형암으로 확장하는 전략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공격을 받고 있는 암세포의 모습.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혈액암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키메릭항원수용체-T(CAR-T) 세포 치료제’를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확장하기 위한 항암 치료 전략이 제시됐다. 서울대는 최은영 의대 의과학과 교수와 최경호 교수 연구팀이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던 ... ...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생산 핵심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인공혈액 대량생산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인공혈액을 표현한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이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생산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기반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업단은 11일 ... ...
마땅한 치료제 없는 '삼중음성유방암' 면역치료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새로운 맞춤형 면역치료의 효과가 확인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삼중음성유방암은 적용 가능한 치료법이 부족해 난치성 암으로 분류된다. 국내 연구팀이 맞춤형 면역치료제로 삼중음성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서울대병원은 문형곤 유방내분비외과 교수, 허유정 ... ...
[동물do감] 뒷다리 흔들어 포식자 물리치는 열대 곤충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모양의 뒷다리를 흔드는 벌레들
이미지
.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 제공. 파나마 운하 한가운데 위치한 콜로라도 섬에 서식하는 곤충 '투우사 벌레(matator bugs)'는 깃발 모양의 뒷다리를 정교하게 흔드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위험을 자초할 수도 있는 화려한 몸짓의 비밀이 풀렸다. 움맛 솜지 미국 ... ...
쥐 뇌에서 찾은 '욕망의 다이얼'…부작용 없는 비만치료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조절하는 새로운 신경 회로가 확인됐다. 다양한 종류의 식욕을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쥐 뇌에서 음식 섭취 욕구를 조절하는 새로운 신경 회로가 확인됐다. 특정 뇌 부위를 '켜거나 끄는' 것만으로 배가 부른 상태에서도 계속 먹게 하거나 극심한 허기에도 먹지 않게 만들 수 있다는 ... ...
산부인과 교수 불구속기소에…의학회 "고위험 산모 진료인력 멸종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교수가 불구속기소되자 의료계는 산모 진력 인력이 줄어들 것이란 우려를 표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산부인과 교수가 불구속기소되는 사건이 벌어지자 분만장을 떠나는 의사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내 의학 학술단체 197개로 구성된 대한의학회는 고위험 산모를 진료하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