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생식물
식물
쥐띠
우발
야생
뉴스
"
자생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제공 지금도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볼테르 식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생
적으로 과학을 꽃피우지 못한 우리 같은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과학이 스며들지 못한 다른 분야에서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받아들이면 세상이 훨씬 더 좋아질 것이라는 상상을 한 번 쯤은 해 봤을 ... ...
"韓 바이오 클러스터 성공하려면 美 보스턴에서 배워라"
연합뉴스
l
2020.01.30
공급하고 병원은 임상 연구를 실시하며 이를 사업화하기 위해 기업들이 모여들면서
자생
적으로 바이오 생태계를 이뤘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전국 7개 바이오 클러스터 주변에 임상시험과 중개 연구에 핵심인 연구중심병원이 부족하고 이마저도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바이오 생태계 ... ...
작년 수소차 판매 세계 1위…"수소경제 1년 가시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종합대책을 통해 안전관리 체계를 정비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수소경제가 민간 주도의
자생
력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수소차, 충전소, 연료전지 부문 핵심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는 데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 확보를 위해 대규모 물 분해 ... ...
김시중 전 과기처 장관· '포니'개발자 이충구 전 현대차 사장 등 12인 '과기유공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선정됐다. 김영중 서울대 명예교수는 한국 천연물 연구를 개척한 대표적 학자로 꼽힌다.
자생
약용식물의 보존과 연구를 위해 서울대에 약초원을 조성하고, 천연물 신약개발을 연구했다. 고 이우주 연세대 전 총장은 신경세포 호르몬을 연구한 세계적 학자로 한국어로 된 약리학 교과서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독버섯에는 환각제 성분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1958년 알베르트 호프만은 멕시코에
자생
하는 광대버섯인 실로시브(사진)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해 실로시빈(psilocybin)이라고 명명했다. 위키피디아 제공 22년 만에 임상연구 재개 그러나 영광은 잠시였다. 통제된 환경에서 의료인들이 치료제로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05
자생
생물이 무려 1만 3138종 국내에 살고 있지만 한국어 이름이 없는 생물도 무척 많다.
자생
생물 4만 9027종 가운데 27%에 해당하는 1만 3138종은 아직 한국어 이름이 없다. 이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2017년부터 ‘국가 생물종 국·영명 부여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생물 전문가들이 모여 ... ...
토종
자생
식물 제주상사화 퇴행성 뇌질환 치료 효과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뇌질환 치료용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찾아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한반도 토종
자생
식물인 제주상사화가 활용됐다는 점에서 국산 고부가가치 천연물 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천연물 및 식품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최신호에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라는 약초가 등장한다. 개똥쑥(학명: Artemisia annua)이라고도 하는데 아시아 전역에 널리
자생
하는 식물이다. 열을 내리고 더위 먹은 증상을 치료하며(淸熱解暑), 몸이 달아오르는 증상을 없애고(除蒸) 학질을 치료하는 것(截瘧)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투유유가 동의보감을 본 것은 아니다. 주후비급방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찬성 측은 일제 삼나무가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바닥에 드는 햇빛을 가려 오히려 제주
자생
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에 대해 국립산림과학원 김용석 연구사는 “토양의 산성화는 자연적 요인보다는 산성비 같은 인위적인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며, “자연적인 토양의 ... ...
유영민 장관 "강소특구 지역주도성 원칙 고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운영에 있어서도 ‘지역주도성’이라는 기본 원칙을 고수해 강소특구가 지역의
자생
적인 혁신 생태계 구축에 기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머지 3곳의 강소특구 비전 선포식은 8월 말 개최될 예정이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