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국
유화
황화현상
경화
가류
뉴스
"
황화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2019.04.03
옵티컬 머티리얼스’ 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구리가 첨가된
황화
아연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다. 이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 디스플레이는 전류에 의한 손상뿐만 아니라 자르거나 잡아당겨 뜯어내는 등 물리적으로 손상돼도 복구가 ... ...
포스텍 연구팀 리튬·황배터리 성능 향상 전극 개발
연합뉴스
l
2019.03.23
리튬황 전지의 단점을 신개념의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황화
리튬은 전도성이 낮아 분극현상(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충·방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황이 전해질에 녹아 전지 성능과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자기조립(self-assembly)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한 후 그 위에 니켈-철 수산화물 전극을 코팅하는 방식의 새로운 구조를 만들었다. 니켈
황화
물은 음의 전하를 띄어 염화물이 전극에 올 경우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니켈-철 수산화물은 전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 만든 전극은 바닷물과 같은 염화물이 있는 상황에서도 오랜 시간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탄생했다는 사실만은 점점 확실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화석 속 생물은 긴 실 모양의
황화
철 구조를 갖고 있으며, 굵기가 최대 0.6㎝, 길이가 최대 17㎝였다. PNAS ... ...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표면에 코팅하듯 달라붙었지만(왼쪽 상단) 전해질을 음이온을 갖는 리튬염으로 교체하자
황화
리튬이 전극 표면에 입체 구조로 자라나 전극 표면을 덮는 비율이 줄었다. KAIST 제공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슷한 면적당 용량 밀도를 갖는 고용량 황 전극을 만들었더니 이론용량의 92% 수준의 성능을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산염 호흡 미생물은 황산이온(SO42-)을 물(H2O)와
황화
수소(H2S)로 바꾸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지구는 45억 년 전 탄생한 뒤 약 20억 년 동안 대기 중에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이었으므로, 이 같은 무산소 호흡을 하는 미생물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적용 가능하다. 김일두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색변화 센서는 0.4ppm 농도의 극미량
황화
수소에 노출됐을 때 1분 만에 맨눈으로 색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한 검출 특성을 보인다. 기존 기술로 감지가 어려운 입 냄새는 물론 날숨을 이용한 질병 또는 마약 검사, 유해 환경가스 검출 ... ...
[여기에 과학] 백금으로 폐수 속 수은, 완전히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걸 막기 위한 방법은 다양합니다. 황과 결합해 덩어리를 만드는 수은의 특징을 이용한
황화
물 침전법을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은이 활성탄에 붙는 것도 알려져 있어 활성탄 흡착법도 널리 사용돼 왔습니다. 최근에는 각각의 산업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산성도를 고려해 제작한 이온 교환 ... ...
불 안 붙는 전기차 배터리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리튬의 전도도가 높아지고 전극이 완성된다. 이 때 '굽는' 온도가 약 160도로 기존
황화
물계 고체전해질에 필요한 250~450도보다 크게 낮아 리튬 음극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전극과 전지를 만들 수 있다. 하 책임연구원은 “전고체전지의 난제를 해결하고 상용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현재 성능과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떼려야 뗄 수 없는 ‘때’는 왜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영양 성분(?)으로 이뤄져 있다. 세균의 활동이 늘면 이 물질들이 지방산, 암모니아,
황화
수소 등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로 분해되면서 악취가 난다. 만약 주변 환경이 빛이 잘 안 들고 축축하다면 금상첨화다. 딱 생각나는 곳이 하나 있다. 배꼽 때다. 지금 당장 배꼽 속을 확인하는 건… 말리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