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스페셜
"
공간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
2022.06.25
함께 쌓인 것입니다. 나중에 소금 결정은 물에 녹아 사각형의 흔적만 남았고, 이
공간
을 또 다른 탄산염 광물인 방해석이 채운 것입니다. 이 흔적을 ‘소금흔’이라 부릅니다. 석회암에 남은 소금흔은 고생대 시대에 구문소가 바닷물이 말라 소금 결정이 생길 정도로 매우 건조한 기후였다는 사실을 ... ...
서울 강남 도심 한복판에 과학기술 지식교류의 장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공공기관과 공유사무실 위주로 구성했다. 지상 1층과 지하 1층은 1관과 2관이 연결된 통합
공간
으로 1층은 전시와 이벤트 존, 지하 1층은 학술과 정보 등 교류를 위한 회의실로 활용한다. 29일 개관식 때 대한민국과학기술 연차대회도 함께 개최된다. 올해 연차대회는 ‘과학기술이 대한민국을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KBSI 대구센터의 ‘시분해 형광 공초점 현미경(FLIM)’으로 단일 나노입자 내부를 시간과
공간
을 동시 분할해 양자 입자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결과 엑시톤에 음전하를 띠는 전자 또는 양전하는 띠는 정공이 추가로 결합한 트라이온 양자 입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또 이렇게 생성된 ... ...
이산화탄소 지하암반에 묻어도 '이 조건'이면 지진 유발 가능성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위해 가로세로 0.711m, 높이가 0.914m인 직육면체 사암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사암은 내부
공간
이 많아 이산화탄소 주입이 용이하다. 연구팀은 먼저 사암을 절단해 단층과 같은 형태로 만들고 6개 면에 강한 힘을 가해 응력(외부 힘에 대한 저항력)이 생기게 했다. 그 다음으로 이산화탄소를 대신해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학자들 "인간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인간의 전파와 인간의 전파에 간섭된 우주 전파를 배제해야 한다. 특히 톈옌은 우주
공간
의 19곳을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데, 간섭이 일부에서만 나타나는 경우 간섭 현상을 배제하기가 더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 일부 학자들은 2018년에서야 가동을 시작한 톈옌을 운영하는 과학자들이 데이터에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부뤼셀에서 열린 동맹국 정상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결정됐다”며 “우주는 모두의
공간
이며, 어떤 갈등이 발생하면 모두가 그것에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있다”며 우주를 집단안보에 포함한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인도가 참여하는 안보협의체 ‘쿼드’(Quad)에도 우주가 올해 ... ...
[일문일답] 누리호 2차 발사 잠정 연기 "기체 열어봐야 향후 일정 알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과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이 1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 분들께 좋은 결과를 보여주려고 했는데 아쉽게 됐다. 최종적으로 우리가 독자적으로 우주
공간
에 우주발사체를 보낼 것이다. 계속해서 노력하겠다. ... ...
누리호 1단 산화제 탱크 센서 이상 발사 취소...발사 잠정 연기(종합)
2022.06.15
좋은 결과를 보여드리려 했는데 아쉽게 됐다”며 “최종적으로 우리가 독자적으로 우주
공간
에 우리가 만든 위성을 보낼 수 있게 노력했기 때문에 좋은 성과를 보이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시간은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방 교수는 “큐브위성은 아무 때나 발사체의 남는
공간
에 실어 발사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위성개발은 일정 지연 요소가 늘 있는 만큼 신뢰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일정을 맞추도록만 하면 이벤트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 선진국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촬영했다. 이 기법은 정밀한 단일 분자로 이뤄진 원시 세포 환경에서 거대 분자 구조와
공간
조직을 분석하고 분자의 상 분리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까지 들여다 볼 수 있다.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의 단백질과 핵막이 세포벽 내부에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밝혔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