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생김새
건초
마른 풀
마초
사료
형식
스페셜
"
꼴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젊은 여성 과학자에게 홀려 권력을 남용해 팀장 자리에 앉혔고 그 결과 이 모양 이
꼴
이 됐다는 것. 두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부정했지만 둘 사이의 간통은 기정사실화됐다. 충격으로 입원까지 한 사사이 박사는 자신을 향한 부당한 비난을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결국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그렇다고 상선 제작을 멈췄다가는 섬나라인 영국으로서는 그냥 말라죽기를 기다리는
꼴
밖에 되지 않았다. 문제는 유보트를 잡으려면 초계기를 띄워서 감시해야 하는데, 그러자면 항공모함을 만들어야 하고, 제한된 자원으로 항공모함을 뽑아내려면 상선 제작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던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만드는 전이를 억제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지만 여전히 100세대에 한 개
꼴
로 생식세포에서 전이가 이뤄지고 있다. 체세포의 경우는 노화에 따라 더 빈번하게 L1 전이가 일어나면서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논문은 이 과정에 내인성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봐도 된다고. 이에 대해 필자들은 엉뚱한 데 찬 공을 골로 만들려고 골대를 옮기는
꼴
이라고 반박했다. 데이터가 뒷받침하지 않으면 아무리 아름다운 이론이라도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 것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천동설)이나 프레드 호일의 정상상태우주론 이 그런 ... ...
[채널A] 미세먼지 올해 최고 수준…서울도 ‘콜록’
채널A
l
2014.01.17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보면 건강에 해로운 수준을 넘어선 날 수가 최고 11일. 3일에 한 번
꼴
입니다. 미세먼지 공습은 내일도 이어집니다. [전화 인터뷰 : 유정아/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연구사] 충청과 호남권의 경우에는 중국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약간 나쁨’ 수준을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갖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기술적으로는 오히려 보완해야 할 구멍들이 숭숭 나 있는
꼴
이다. 물론 커다란 변화는 있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네트워크는 작은 폐쇄적 그룹들이 듬성듬성 흩어진 형태였다. 이 그룹들은 고립성이 강해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망이 빈약한 경우가 많았다. ... ...
대기 중 CO₂ 농도 400ppm, 지구 온도에 빨간불!
KISTI
l
2013.06.03
내리기를 반복하며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1950년대 말에는 연간 0.7ppm
꼴
로 높아지다가, 최근 10여 년 동안에는 매년 2.1ppm씩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등 인간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CO₂ 농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지구 온도도 높아지고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지구 상태의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완성도에 경도되어 이를 간과한다면 안타깝게 사장되는 기술만 또 하나 탄생시키는
꼴
이 되고 말 것이다.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14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인력들이 연합군의 수중에 떨어지면 ‘남 좋은 일’만 시켜주는 셈이라는 점이다. 이
꼴
을 보고 싶지 않았던 나치는 연구시설을 완전히 파괴하고 과학자들은 제거해버리기로 작정했다. 사실 이는 면밀한 계획에서 나온 행동이라기보다 급박하게 돌아가는 전장에서 즉흥적으로 나온 돌출행동에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전자총의 세기를 극도로 줄여 1초에 전자 하나
꼴
로 내보내게 했다. 그리고 두 슬릿이 열려있을 때 스크린에 닿은 전자 입자 하나하나를 검출해 위치를 표시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위에서 두 번째부터 아래로 각각 전자 2개, 7개, 209개, 1004개, 6235개가 검출됐을 때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