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년 방역목표는 거리두기·중증환자·사망자 줄이기…방역패스 대상도 점차 축소
동아사이언스
l
2021.12.30
운영하고 감염병전담요양병원 650병상, 정신병원 100병상 등 특수 병상을 보강한다. 모
둘
형 병상도 96병상 구축한다.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위해 입퇴원 전 단계 병상운영도 효율화한다. 실시간으로 환자 병상과 정보 공유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한다. 업무 표준절차를 수립하고 ... ...
[일문일답]"3단 헬륨 탱크 이탈 문제 스페이스X도 겪어"..."5월 발사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않았나. A: (고정환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장) 일단 헬륨탱크가 2개가 있는데
둘
다 그런 식의, 작용하는 힘은 어차피 똑같아서 그렇게 되지 않았을까 싶고요. 부력에 대해서 고려를 안 했다기보다는 고정장치들을 설계하고 그런 것들을 시험하게 되는데 지상에서 시험을 하다 보니 비행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아직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어. 지금 나는 괜찮아”
2021.12.18
시험 장소에 나타나 달라고 공지했다. 이튿날 뜬 눈으로 밤을 샌 학생들이 하나
둘
시험 장소에 나타났다. 훌쩍거리며 울고 있는 학생들도 있었다. 선생님은 학생들과 함께 잠시 눈을 감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시간을 가졌다. 모두 눈을 감고 어제도, 내일도, 이 다음 시간도 아닌 바로 '지금 이 순간 ... ...
[일문일답]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3개월 만에 맞아도 괜찮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이유는 없다. 백신 플랫폼을 바꿨을 때 효과가 많이 증가한다. 그러나 화이자와 모더나는
둘
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이라 큰 차이가 없다. 어느 것을 맞아도 큰 문제는 없다” - 고령층 돌파감염이 많은 것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아서인가 (남 교수)“일부는 맞는 이야기다. ... ...
[기고] 글래스고 기후변화 총회가 남긴 숙제
2021.12.13
연례 개최하자는 문구로 포함된 데에는 더 이상 청소년들을 기후 논의의 조연으로
둘
수 없다는 데 국제사회가 공감했기 때문이다. 글래스고 총회는 끝났지만, 글래스고 기후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행보는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이다. 탄소중립 선언과 야심찬 2030년 NDC 발표 등을 통해 그동안 한국이 ... ...
현실 빼닮은 가상공간에서 AI 드론 군단 시뮬레이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있다. 하지만 기존 시뮬레이터는 컴퓨터의 처리량의 한계로 정밀도와 드론 규모
둘
중 하나만 택해야 했다. 가령 드론의 질량이나 이동 특성 등 물리적 정밀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그래픽 정밀도가 높으면 한 번에 구동할 수 있는 드론 수를 여러 기로 늘릴 수 없었다. 반대로 여러 기를 구동하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수상했다 흥미롭게도 프랑크와 헤르츠는 모두 1차 대전에 참전했는데, 1915년에는
둘
다 당시 독일의 저명한 화학자였던 프리츠 하버가 이끄는 독가스 제조부대에서 복무했다. 하버는 1911년 암모니아 합성에 성공한 화학자로 인공적인 비료생산의 길을 열어 ‘공기에서 빵을 만든 과학자’로 ... ...
"한국 2~3년내 12~17세 280만명 중 5분의 2 감염 전망"…"청소년 2회 접종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8
명당 12명으로 가장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백신 접종시 이득과 손해가 무엇인지,
둘
중 무엇이 더 큰지를 묻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질문에 최영준 고려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위중증과 사망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걸 이득, 백신 부작용을 손해로 본다”며 “한국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
2021.12.08
‘과학’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의 생존은 책임질 수 없는 감성에 맡겨
둘
일이 절대 아니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구글 딥마인드는 왜 수학을 연구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04
분석하기 위해 기계학습은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둑을
둘
때 사람은 직관적으로 생각해야 하지만 기계학습은 현 상황을 근거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경우의 수를 토대로 분석한다는 것으로 설명했다. 연구팀은 마크 락켄비 옥스포드대 수학과 교수, 조르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