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당
분배량
상
부담액
역할
책임
구전
스페셜
"
몫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에게 이타심을 가르치는 법
2019.12.07
한다. 여기에는 아이가 집안일을 돕거나 했을 때 사실 일이 더 늘어나는 것도 한
몫
할 거라고 한다. 골라서 돕기 세 살 즈음이 되면 도움 행동에 ‘도덕 판단’이 들어가기 시작해서 도움을 받아 마땅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물건을 훔치는 등 잘못을 저지른 사람)을 구분하기 시작한다. ... ...
“소재·부품·장비 克日 내부 역량부터 분석해 기업 갈증 풀어야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이같은 시장의 논리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 소재부품 산업의 특성도 한
몫
했다. 개발해서 직접 제조하기까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초일류 기업을 지향하는 대기업이 직접 개발하기는 쉽지 않다. 값싸고 질 좋은 기술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굳이 개발할 필요를 ... ...
[에코리포트] 인도의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9.07
0만 장에 달합니다. 3500만 장의 사진 중에서 호랑이 사진만을 골라내는 건 인공지능의
몫
입니다. 뿐만 아니라 호랑이의 줄무늬는 사람의 지문처럼 저마다 다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은 줄무늬의 모양으로 서로 다른 호랑이를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호랑이가 몇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덕적 자아상, '내로남불'의 심리학
2019.08.31
긍정적 자아관을 유지할 수 있는 데에는 편의에 따른 선택적 기억 인출과 왜곡이 한
몫
한다.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에게 잘못한 것은 디테일 하나하나 빼먹지 않고 기억하면서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잘 기억하지 못하는(않는) 현상을 보인다. 사람들에게 잘 하면 상금이 나오는 과제를 준다. 어떤 ... ...
고기 덜 먹으면 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생산할 때에도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축산업을 위한 산림 파괴도 온실가스 증가에 한
몫
한다. IPCC가 채택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식물성 식단을 따라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붉은 육류 섭취를 줄이면 줄일수록 더 좁은 면적의 토지에서 더 많은 식량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
2019.05.28
과 같은 게임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도전해보고 싶으나, 그건 전적으로 아이가 판단할
몫
이다. 지금도 아이는 할 일이 없을 때면 엔트리로 뭔가를 만들곤 한다. 종이접기나 슬라임 만지작거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코딩 스킬이 딱히 는 것 같지는 않지만 문제 될 것은 없다. 잘 안 만들어질라치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invisible technician. American scientist, 77(6), 554-563. -(*)물론 이건 철저히 논문의 교신저자의
몫
이다. 필자가 연구했던 미국의 실험실은 테크니션의 기여를 항상 논문에 기재하곤 했다.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
2019.05.07
대로 적절한 수식을 이용해 구성해야 한다. 판단의 기준을 만드는 것은 오롯하게 사람의
몫
이란 것이다. 인공지능의 놀라운 능력도 결국 사람의 판단에 기대고 있다. 예컨대, 요즘 각광받는 머신러닝은 사람이 판정한 대량의 데이터에서 시작한다. 간단히 말해 교과서를 만드는 것과 같다. 여기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세상의 룰 공정하다'는 믿음, 열정페이를 강요하다
2019.05.04
자체가 보상이기 때문에 이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인식이 한
몫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열정과 착취가 함께 다니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속한 세상의 룰이 공정하다고 믿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예컨데 가난이라는 ... ...
[Science토크] 철학자와 과학자들 인간의 자유의지 실체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정해지면 질문에 정확하게 답할 수 있는 실험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는 신경과학자들의
몫
이다. 실험이 끝나면 실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함께 해석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일련의 과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 소재 채프먼대학의 심리학자이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