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스페셜
"
정교
"(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1Tbps 달성과 저궤도 위성통신과의 결합, 공기 지연율을 낮추고 연결밀도를 극대화한
정교
한 통신 등이다. 먼저 파장의 길이가 수백~수십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로 짧은 테라헤르츠(THz) 대역은 이론적으로 5G에 쓰는 밀리미터 길이의 파장을 가진 기가헤르츠(GHz) 대역보다 훨씬 더 많은 ... ...
[랩큐멘터리] 화학 연구실에서 탄생한 부드럽고
정교
한 인공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포스텍 에너지 나노재료 연구실은 에너지와 관련된 유기 및 무기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한다 화학자는 때때로 패션디자이너와 비슷한 일을 한다. 패션디자이너가 원단을 자르고 꿰매 원하는 옷을 만들듯 화학자는 물질을 연구하고 합성해 인류에게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다. 부 ... ...
[CES2021]럭셔리 전기차 방향성 제시… 캐딜락, ‘셀레스틱’ 콘셉트 공개
동아닷컴
l
2021.01.13
디자인팀과 엔지니어링팀은 얼티움 플랫폼의 공간적인 이점을 활용해 첨단기술을
정교
하게 통합시킬 수 있는 기회를 모색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이 낮고 극적인 후면 비율을 갖춘 콘셉트카를 완성했다.캐딜락에 따르면 셀레스틱은 엄선된 소재를 아낌없이 사용하면서 운전자 개성을 적극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발을 내디딘 사람은 미국의 오즈월드 에이버리였다. 에이버리는 그리피스의 실험을 더욱
정교
하게 재현해 폐렴구균의 형질전환 물질의 정체에 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었다. 그 정체는 ‘멍청한 분자(stupid molecule)’라 불렸던, 에이버리 스스로는 “분자들 중의 약자(underdog)”라 불렀던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외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진단 속도·정확도 높인다
2020.12.03
공과대학의 나노공학 교수는 “연구의 목표는 최첨단 시설이 갖춰진 병원뿐만 아니라
정교
한 인프라나 숙련된 의료인력이 부족한 곳에서 코로나19 진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양성 대조군은 연구실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연구실에서 이뤄지는 ... ...
지금 녹은 남극 빙하가 21년 뒤 동아시아에 온난화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사실을 밝혔다”며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나타나는 지구와 한반도의 미래 모습을
정교
한 시나리오로 찾아내 기후변화 대응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회보’ 10월 29일자에 실렸다 ... ...
방역당국 "백신 개발되면 내년 하반기 도입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점검하고 논의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상당히 복잡한 준비과정과
정교
한 시뮬레이션, 여러 차례의 반복적인 교육훈련까지도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화이자 백신 승인 시점과 관련해 “화이자의 경우도 임상시험이 다 끝난 것은 아니고 미국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크게 다르지 않다. 반면 문과 분야 학생들은 수리 능력 향상을 통해 좀 더 논리적이고
정교
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또 이과 분야 학생들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정치, 사회, 경제, 문화에 대한 학습을 통해 더욱 다양한 대안 창출과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는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문과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노벨위원회 예상 적중한 극저온전자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20.11.07
1.7Å의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또 쥐의 아포페리틴 단백질은 이보다 더
정교
한 1.22Å의 해상도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호글러 스타르크 막스플랑크 생명물리화학연구소 교수팀은 아포페리틴 단백질 이미지를 1.25Å의 해상도로 얻었다. 지금까지 아포페리틴 단백질의 최고 해상도 ... ...
거리두기 개편배경은…방역경험 바탕으로 코로나19 장기전 대비
연합뉴스
l
2020.11.02
대응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방역수위를 현실에 맞게 낮추고 시설·업종별로도
정교
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현행 3단계 체계에선 단계별로 현장에서 느끼는 제한 수준이 급격히 달라지기 때문에 정부가 방역 수위를 조정할 때마다 사회적 혼란이 초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