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사람"(으)로 총 4,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105
- 보통 사람들은 화학물질(chemicals)이라면 막연히 ‘위험하다’, ‘독성을 띤다’, ‘암을 일으킨다’, ‘이해하기 어렵다’ 같은 부정적인 단어와 연관을 짓는다. 화학물질을 잘못 다뤄 발생했던 사고의 부정적인 충격이 너무 커서 화학물질의 밝은 면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자동차보다 훨씬 안전한 ...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과학동아 l201105
-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105
- 기자가 카이스트 재학생들을 만나기 위해 대전에 간 것은 지난 4월 12일, 임시 휴강을 하고 교수와 학생들이 대화의 시간을 가진 두 번째 날이었다. 대전은 서울보다 봄이 빨리 찾아와 있었다. 정문에서부터 청초한 목련과 벚꽃이 바람에 하늘하늘 흔들리고 있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 여기 재학생 4 ...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105
- 한반도에 태백산맥이 있다면 남아메리카에는 안데스 산맥이 있다. 총 길이 7000km, 평균 해발고도 4000m에 이르는 이 거대한 산맥은 남아메리카의 서쪽 해안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남아메리카에서 안데스 산맥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지구 최대의 열대우림을 만든 아마존 강은 ...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과학동아 l201105
-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이하 휴보센터)에 가면 높이 2m 정도의, 네모난 모양의 커다란 회색 기계를 볼 수 있습니다. 위쪽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전동드릴이 붙어 있고, 아래쪽에는 두툼한 금속판을 고정할 수 있는 작업대가 달려 있습니다. 스위치를 넣으면 미리 입력해 놓은 수치대로 금속판 ...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과학동아 l201105
- 1991년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근무하던 화학자 폴 아나스타스 박사(당시 28세)는 화학이 환경오염의 주범에서 벗어나 더 안전하고 더 깨끗하고 더 에너지 효율적인 방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녹색화학(green chemistry)’이란 용어를 만들었다. 그 뒤 화학계는 녹색화학을 향한 치열한 자기 ...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과학동아 l201105
- 3“일본 도쿄의 수돗물에서 1kg에 200베크렐 (Bq/kg)의 방사능이 나왔습니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방사능 허용 기준은 방사성 요오드 기준으로 300Bq/kg입니다. 어린이는 이보다 민감해서 100Bq/kg입니다. 과연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수돗물을 먹게 했을까요?”.지난 3월 31일, 환경재단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05
- 우리 곁에 있어야 할 가축이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한반도의 절반에만 소, 돼지, 닭 등 2763만 두의 가축이 산다는데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우리 곁을 떠난 가축의 이야기를 나눠보자. 어렸을 적 농촌에서 자란 나는 여러 동물들과 함께 살았다. 소여물을 주기 위해 날마다 볏짚을 잘게 잘랐다. ...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과학동아 l201105
- 과학잡지와 과학책을 즐겨 읽던 어린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돼 칼 세이건이 쓴 ‘코스모스’를 무려 12번 읽었다. 미국 사는 친척이 원서를 보내주자 영어 공부할 겸 다시 독파했다. 칼 세이건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답장까지 받았다. 그는 자라서 세계적인 과학철학자가 됐다. 동아일보 창간 기념 ...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105
-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1000만 대 가까이 되면서 제2의 벤처 바람이 불고 있다. 성공 사례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지만 벤처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하지만 명문대 프리미엄을 버리고 도전에 나선 이들이 있다. 바로 서울대 벤처동아리인 ‘학생벤처네트워크’. 이들은 최근 미국 MIT와 함께 ‘MIT-글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