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d라이브러리
"
기관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제 잎’처럼 광합성 하는 ‘인공 잎’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하고 있어요. 특히 광합성을 하는 엽록체에 주목하고 있답니다. 식물세포 안에 들어 있는
기관
인 엽록체는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해요.최근 영국왕립예술대학교의 학생인 줄리안 멜키오리는 미국 터프츠대학교와 공동연구팀을 이뤄 실크단백질 안에 엽록체를 넣어 인공 나뭇잎을 만들었어요. 이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그 열차가 도착하는 마지막 역에 연락할 것.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났다면? 해당 운영
기관
유실물 센터로 바로 전화해 보자~!우리 지하철도 더 빨리, 더 편리하게!GTX나 KTX 같은 고속열차가 발달한다고 해도, 짧은 거리를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가는 지하철은 여전히 우리의 삶 속에 있을 거예요. 그것도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먹는다니 너는 지독한 편식쟁이로구나!놀랍게도 우리는 유전자와 치아 생김새, 소화
기관
이 육식동물에 가까워요. 고기를 먹고 살 수 있을 만큼 잘 발달되어 있거든요. 생김새로만 따지자면 우리는 식물만 지독하게 편식하는 셈이죠. 하지만 우리는 영양소가 부족하지 않게 대나무 외의 음식도 잘 ... ...
[과학뉴스]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에볼라가 자신의 주 활동 무대인 혈관으로 바로 가지 않고, 지라(비장)와 같은 내장
기관
에서 한동안 머무르며 전열을 가다듬기 때문이다. 짧게는 이틀에서 길게는 3주까지 잠복기가 이어진다. 환자는 잠복기가 끝나고 온 몸의 혈관이 터져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에볼라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알 수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KSTAR)를 ‘물리 머신(Physics Machine)’, 그러니까 핵융합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
기관
으로 키우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독하게 할 겁니다.”국가핵융합연구소의 김기만 신임 소장(54)은 조용하지만 단호한 어조로 연구소의 비전을 소개했다. 케이스타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신소재 초전도 자석의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반짝거리며 움직이는 장면이 있어요. 실제로 동물 플랑크톤 일부는 빛을 내는 발광
기관
이 있죠.”바다에 불을 비추자 먼지처럼 작은 생물들이 빛을 향해 몰려들었다. 촘촘한 망으로 바닷물을 걸러내 연구실로 가지고 간 이 연구원이 채집한 플랑크톤을 현미경으로 보여주자 여학생들이 소리를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보이는 이것은 누에 나방 번데기의 기도(호흡관)다.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부속
기관
이지만 현미경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관찰할 수 있다. _데이비드 매틀랜드] 2014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야생사진전에서 수상한 다른 사진을 보고 싶다면 홈페이지(nhm.ac.uk/wpy)를 방문해 보자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쓴 글씨나 멋진 작품이 되는 거야. 3두들러는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후원자를 연결해 주는
기관
인 킥스타터(www.kickstarter.com)를 통해 개발이 이뤄졌어. 이곳에 아이디어를 올리면 사람들이 흥미로운 아이디어에 자발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식이지. 3두들러는 5주 만에 전 세계 2만 6400명이 약 26억 원의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교수에게 전기신호 측정 기술을 직접 배운 모세르 부부는 해마에 정보를 전달하는
기관
이 내비피질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2004년에는 내비피질에도 해마의 장소세포처럼 특정 장소에 가면 반응하는 신경세포가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신경세포는 장소세포와 달리 하나의 넓은 공간을 혼자서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과학문화를 체험한 셈이다. 개관 1주년을 맞아 최은철 관장은 “앞으로도 국내외 관련
기관
과 함께 새롭고 특색있는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만들 예정”이라며 “우리 과학관을 모든 국민이 즐거운 마음으로 찾을 수 있는 ‘과학문화 복합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PLUS 루체리움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