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국 정부에서 과학자들에게 주는 연구비 규모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 됐는데, 한국의 연구비 생태는 어떤 상황일까. 1파트에서 살펴 본 ‘노벨 생태계’처럼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적대감이 가득한 초록빛 눈동자. 198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표지에 실린 아프가니스탄 난민촌 소녀는 전쟁의 참상을 전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미국에서 그녀의 생사를 확인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상태에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본인이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똑, 똑, 똑, 똑…. 시계소리에 맞춰 A기자는 침을 꼴깍 넘긴다. 이렇게 긴장하는 건 원고 마감이 코앞이기 때문이다! 이번 달은 추석 연휴도 있어 편집실이 ‘초긴장모드’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일까. 지난주까지 그렇게 생각이 안 떠오르던 원고 첫 부분이 이렇게 잘 떠오르니 말이다. 그런데 옆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5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년 전 추석, 귀향길에 거치는 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 하나였다. 20년이 지난 지금 내부순환도로에 서해안고속도로, 그리고 중부내륙고속도로까지 여러 고속도로를 거쳐갈 수 있게 됐다. 지하철 노선도 역시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이 새로운 길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휴대전화 사용, 활동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돌아가시기 며칠 전,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신 외할머니가 자식들을 불러 손녀들의 몸무게를 물어보셨다. 그리고 은경에게 유품으로 체중계를 남기셨다.“애지중지하시던 건가요?”“아니, 창고에 처박혀 있던 건데.”“그럼 이걸 왜 저한테 주신 거예요?”영문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받았으니 다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상현실은 단어 그대로 가짜 체험이다.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일을 사람의 시각, 청각, 후각과 같은 감각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현실처럼 만든 시공간에서 체험한다. 이 가상공간은 두뇌가 인식하는 방식이나 생체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일을 처리할 수 있기에, 그 역량에 맞는 일을 담당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운영 중인 슈퍼컴퓨터 ‘타키온2’는 CPU가 2만5600개로, 1초에 약 300조 번의 계산을 할 수 있다.이론물리학에서 버스 노선 설계까지타키온2는 주로 과학과 공학, 산업분야의 문제를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