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오차가 생겼다. 과학자들은 이를 결코 변하지 않는 상수로 극복하고자 한다. 광자의 에너지를 광자의 주파수로 나눈 ‘플랑크 상수’ 로 kg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큰 이변이 없다면 올해 11월 kg 원기는 130년간 차지했던 왕좌를 플랑크 상수에게 물려주게 된다. 쌀, 보리 등 곡물을 저울에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들어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비만 쥐의 장내미생물이 음식물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비만 쥐의 분변에 포함된 열량이 정상 쥐 보다 더 적다는 점을 이 가설의 근거로 내세웠습니다. 같은 양의 음식을 먹었는데, 분변의 열량이 더 적다는 것은 그만큼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두께 100nm, 초박형 유기 태양전지정 교수가 이끄는 ‘친환경 에너지 소자 연구실’은 친환경 반도체 제작은 물론, 이 반도체의 활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친환경 반도체로 제작한 초박형 유기 태양전지가 대표적이다. 유기 반도체는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무기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한다. 즉, 스칼라는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질량, 시간, 이동 거리, 속력, 일, 에너지, 온도 등이 있다. 반면 물체의 변위는 크기와 방향을 같이 나타내는데, 이런 물리량을 벡터라고 한다. 벡터에는 위치, 변위, 속도, 가속도, 힘, 전기장, 자기장 등이 있다. 속도는 벡터로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 ...
- [과학뉴스]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존재할까.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거대 블랙홀과 그 주변에서 서로 에너지를 주고받는 작은 블랙홀이 최소 수천 개 이상 존재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최근 찰스 헤일리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학실험실 교수팀이 이 가설을 입증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막내 라인은 SNS에 올리는 자체 제작 동영상에서도 가장 에너지 넘치고 재미있는 역할을 수행해 팬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한다. 가장 나이가 많은 진(92년생)은 어린 동생들과 스스럼없이 지내며 팀 전체의 수평적인 문화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얼음 아래에는 다양한 자원이 묻혀 있어요. 각종 금속자원은 물론 석유, 천연가스 같은 에너지 자원도 풍부하지요. 2003년 우리나라 연구팀은 탄성파를 이용해 세종과학기지가 위치한 남셰틀랜드 군도 해역을 탐사했어요. 탄성파 탐사는 인공적으로 지표 부근에 파동을 발생시킨 후, 파동이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됐다. 1970년대 중반의 일이었다. 특히 이는, 블랙홀이 내부의 에너지를 모두 열복사로 소비하고 소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사실 실제 우주에서 관측되는 블랙홀들의 경우 호킹이 말하는 ‘온도’가 워낙 작은 것이라 관측을 하는 천문학자들 입장에서는 큰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기면서 전기·정보공학부로 진로를 변경했다. 처음에 선생님들은 만류했다. 지금까지 에너지자원공학부에 맞춰 서류전형을 준비해 왔는데 전기·정보공학부로 바꾸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씨는 “내가 해 왔던 활동이 모두 전기·정보공학부와 관련된 것이 아닐지라도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받아들여지는 건 바로 ‘빅뱅이론’이에요. 한 마디로 말하면 특이점이라 불리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점이 대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우주가 만들어졌다는 이론이에요. 호킹이 대학원에 있던 시절은 우주가 팽창하지않고 항상 밀도가 일정했다는 ‘정상 우주론’과 빅뱅이론이 대립하던 시기예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