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가"(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감소하면 행성파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나아가 극 소용돌이의 세기를 약화시킨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낸 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북반구 겨울에 불어닥친 한파가 지구온난화의 파생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올 겨울, 내년 겨울,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앞으로 우리나라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검색 사이트도 그 겉모습과 기능들이 비슷하다. 물론 각 회사마다 특징을 살려 기능을 더 추가하거나, 필요 없다고 여기는 기능을 과감히 삭제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본 구조는 같다. 왜 그런 걸까? 그 이유는 바로 ‘오픈소스’ 때문이다.오픈소스란 소프트웨어 등을 만들 때 그 알고리즘 구조를 알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BL3에서도 BL4에 근접한 곳이 있다고 말했다. “BL3+라고 부르는 방입니다. 호흡장치가 추가로 있고, 격리시설(isolator)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로 손을 넣어 실험합니다. 바로 에볼라 바이러스를 다루는 곳이죠.”에볼라 환자는 어떻게 치료받을까?에볼라가 확인된 환자는 17개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 중 ...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근처에서 폭 5~8m, 깊이 4~5m, 길이는 무려 70m에 달하는 거대한 동공이 나타났다(14일 발표). 추가 조사에서도 첫 동공보다는 작지만 폭 5.5m, 깊이 3.4m, 길이 5.5m인 것을 비롯해 4개가 더 발견됐다(18일 발표). 현재까지 발견된 동공은 모두 7개다. 조사는 계속 되고 있으며 현재 석촌 지하차도 인근은 통행이 ...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스마트랩 시리즈에는 앞으로 자외선 측정기, 염도 측정기, pH 측정기, 정전기 측정기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면,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유해 환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있고, 뒤를 이어 ‘음식과 약’이 2학기째 진행됐다. 지난 학기에는 ‘인간과 우주’가 추가로 개설됐다. 기회가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주제들이다. 주제뿐만 아니다. ‘인간과 우주’ 강의를 생각해 보자. 서로 떨어져 있던 분야 교수 10여 명이 하나의 주제로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로봇에 적용한 검증은 잘 이뤄 지지 않고 있다. 아무리 좋은 소고기라도 소금과 후추가 있어야 맛좋은 스테이크가 되듯, 아무리 훌륭한 알고리 듬이라도 로봇간 통신이나 경로계획, 위치인식 등 다양 한 기반기술이 뒷받침돼야 실제 군집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끔 “연구 과정에서 무엇이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파르반코르니아 또는 이와 비슷한 동물이 머리와 꼬리의 골격을 분리하고 가슴 마디를 추가하면서 눈을 발달시켜 삼엽충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멸종 두 번 견딘 놀라운 생존력과 눈날지 못하는 공룡들은 약 65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말 대멸종 시기에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삼엽충은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가장 필요했겠지요. 하지만 수많은 사용자와 만나고 그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수록, 산업공학이 빛을 발합니다. 매일 친구들과 단체카톡방에서 얘기하죠? 이 기능을 모바일 메신저 최초로 제공한 것이 카카오톡입니다. 또 문자와 메신저를 합친 대화창도 카카오톡의 특징이죠. 바로 ... ...
- [수학뉴스] 빠른 길 대신 즐거운 길로 안내해 주는 내비게이션?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다음 각 셀에 해당하는 풍경 사진을 수집해, 총 370만 개 이상의 사진을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했다. 그 후, 연구팀은 크라우드 소싱 사이트인 ‘UrbanGem.org’를 통해, 3,300명을 상대로 투표를 진행했다. 사람들에게 임의의 두 단위 셀에 해당하는 풍경 사진을 보여 주고, 어느 길거리(단위 셀)가 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