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갗
살가죽
스킨
가죽
살
살껍질
skin
d라이브러리
"
피부
"(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전자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새로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유기 태양 전지, 둘둘 말아 휴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피부
에 붙여 인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내는 소형 센서 등 공상 과학 소설에서 보던 제품들이 현실에서도 구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최근에 이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대부분의 재료공학부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소변을 본 뒤에도 보송보송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일회용 기저귀는 아기들의
피부
가 짓무르지 않게 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천 기저귀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과연 일회용 기저귀가 이렇게 항상 보송보송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기저귀 속에 들어 있는 고흡수성 고분자(SAP: Super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여러 차례 독성시험을 거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화장품 성분의 1~2%만이
피부
속에 침투할 정도로 양이 극히 미미하고 유럽을 제외하고 미국과 일본에서도 인체 유래 세포 물질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는 것.정형민 사장은 “대다수 화장품 회사들이 GMP 시설을 갖춰 놓고 있다”며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나타난다. 신경생리학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자율신경계의 하나인 교감신경이 자극받아
피부
털에 붙어 있는 조그만 근육인 임모근이 수축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교감신경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상황인 공포, 흥분, 추위 등의 상황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 유사한 상황에서 ... ...
겨울스포츠의 꽃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허용된다.➋ 맨살이나 남자의 타이즈 차림이 없다. 여자 선수의 맨살로 보이는 부분도
피부
색의 타이즈를 입은 것이다. 남자는 꼭 바지를 입어야 하고 반바지도 안 된다. 모두 부상을 막기 위해서다.➌ 가사 있는 음악이 없다. 가사에 담긴 뜻이 선수의 표현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고, 이것을 확산하는 물질인 ‘확산제’와 억제하는 물질인 ‘억제제’가 상호작용해
피부
표면에 무늬를 만들어 낸다고 생각했다. 튜링은 두 물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반응-확산 방정식을 만들어 1952년 논문으로 발표했다.1988년 영국 옥스퍼드대의 수학자 제임스 머레이는 튜링의 이러한 발상을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든 ‘공포에 질린 표정’메드아트는 뭉크의 ‘절규’에 등장한 주인공의 얼굴에서
피부
를 한 꺼풀 벗겨냈다. 콩테(연필 모양의 크레용)와 목탄으로 얼굴 근육을 생생히 그려낸 것이다. 특히 눈 주위 근육(눈둘레근)의 움직임을 재현했다.놀람과 공포가 엄습해 외마디 비명을 지르는 극적인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피부
조직의 배열을 순 간적으로 변화시켜 약물을 침투시키는 방식, 고압용 가스로
피부
에 약물을 밀어 넣는 방식 등 새로운 패치 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변신에 변신을 거듭하며 치료 영역을 넓혀 가는 파스. 언젠가는 세상의 모든 질병이 ‘스마트’한 파스 한 장으로 해결되는 날이 오 지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아귀는 사악한 지혜까지 갖춘 ‘죽음의 사신’이다.아귀의 몸 표면은 바탕이 칙칙한데다
피부
곳곳에 털 모양의 가시와 돌기가 나 있어 움직이지 않으면 전혀 상대방의 눈에 띄지 않는다. 아귀는 꼼짝 않고 바닥에 웅크리고 앉아 상대방의 경계심을 누그러뜨린 뒤 먹이사냥을 시작한다. 아귀 ... ...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이 때 주변의 살도 함께 일어선 것이 닭살처럼 보인다. 반대로 기온이 올라가면
피부
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늘어난다. 한계에 이르면 땀을 흘리는데 땀이 증발하면서 몸의 열을 식혀 준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