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유산균부터 찾았다. 초콜릿 제조 과정에서 열이 가해지는 만큼 열에 강하고, 냉장 보관을
하지
않아도 오래 살아남아야 하며, 소화 과정에서 쓸개즙 등의 산성 물질에 버틸 수 있는 유산균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100여 명의 연구진은 전국 전통시장과 가정집에서 김치 450종을 모았다. 여기서 분리한 ... ...
[Culture] 우리 강아지, 유치원에 보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개의 공격성 문제가 연일 기사화되고 있습니다. 공격성의 원인으로 ‘사회화 부족’이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때문에 겁이 너 ... 거리에서 사람이 나타났을 때 가장 좋아하는 간식을 주면서 말이지요. 강아지가 무서워
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점차적으로 거리를 좁혀나가야 합니다 ... ...
Part 2. 얼음을 지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얼음을 문지르는 스위핑이 경기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단 걸 인정한 셈이지요.
하지
만 어떤 브룸이 얼음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적은 없어요. 이 때문에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는 브룸의 소재와 모양이 얼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장소에 배변하도록 가르치는 반복적인 과정을 말해요. 보통 생후 2개월 이후에 시작
하지
요. 어미와 분리되기 전부터 배변훈련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미와 떨어진 후 새로운 보호자를 만나서 배변훈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배변훈련을 할 때는 혼을 내기보다 칭찬을 하는 게 좋아요. 특히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초등학교에서 무게 단위 사이의 관계에 대해 평가할 때 ‘1g과 1t 사이의 단위 환산을
하지
않는다’거나 중학교에서는 ‘경우의 수는 두 경우의 수를 합하거나 곱하는 경우 정도로만 다룬다’고 정해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풀지 않도록 했지요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공지능은 체스, 바둑 등 게임에서 인간을 놀라게 했다.
하지
만 규칙과 승패가 정해진 게임과 달리 창작은 컴퓨터의 성능을 높인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또 창작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단순히 승패라는 이분법으로 나눠 생각할 수도 없다. 김 연구원은 “창작은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중 하나로 수학을 꼽았기 때문에 성현의 말을 중요하게 여긴 유학자는 수학 역시 게을리
하지
않았으리라는 겁니다. 조선시대 양반도 수학 공부했다!실제로 세종대왕은 공자가 중요하다고 했다면 이유가 있을 것이라 여기고 수학을 공부했다죠. 경종 때 영의정을 지낸 조태구는 동·서양 수학을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뿅’하고 나오는 겁니다. 오일러는 누가 어떤 메뉴와 이어졌는지 구구절절 설명
하지
않고 f 라고만 표시했어요. 만약 ‘진호’를 넣으면 메뉴 중에 진호와 ‘카페에서 고른 메뉴’라는 관계로 맺어진 아메리카노가 나오는 거예요. 이것을 오일러가 고안한 기호로 표시하면 ‘f (진호)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있는지 항상 알아야 한다’거나 ‘모든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한다’ 등의 상황입니다.
하지
만 연구팀은 “이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중국과 캐나다를 예로 들었습니다. 공동체 의식이 강한 중국 사람들은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교육 방식이 관심이고 사랑이라고 답한 반면,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꼽았다. 자신은 물론 대부분의 친구들이 고등학교 때 과학적 흥미와 재능을 제대로 판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1학년 때 여유롭게 모든 과목을 접하며 자신의 적성을 깊이 고민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 큰 선물이었다고 한다. 1학년 때 전교생이 같은 과목을 듣기 때문에 많은 친구들을 만나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