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 방법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상의 인물들이 어느 시대에 활동했는지를 통해 활동 시기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결국 연구팀은 연결된 인물의 정보를 통해 온전한 네트워크를 완성했다. 안녕하세요, 키렐 벤치입니다. 과학자들은 최신 기술로 과거를 탐험해 ... ...
-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을 즐기게 만드는 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라는 뜻이죠.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하는 저자인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는 ‘보드게임’으로 수학의 즐거움을 보여줍니다. 15 퍼즐, 페그 솔리테어, 슈퍼 틱택토 등 전세계에서 인기 있는 보드게임 14개를 골라 게임의 탄생 비화와 관련된 일화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백두산에서 관찰된 화산지진은 천지 아래 50km 이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마그마가 활동하고 있다는 증거였다. doi: 10.1029/2012GL052600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은 2002~2009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백두산 인근 지표의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천지 정상을 중심으로 화산체(화산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엄마’의 유전자형을 X'X로 표시했고, 표현형은 ‘세 부분’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런데 활동지 하단에 제시된 자손 외계인의 형질 표에는 유전자형을 XY로 표시하면서도 부모 외계인의 표현형에는 없던 ‘등에 점 있음(점(O))’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를 돌연변이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온·오프라인 수업을 들으며 직접 발명품 특허를 출원해보고, 집수리 봉사 활동도 꾸준히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또 2012~2013년에는 강원도민생활체전에 수영과 수구 종목 선수로 출전했는가 하면, 사물놀이 동아리원으로 학교 행사마다 공연을 했다. 그리고 마침내 미국 대학 진학에 성공했다.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더 생각해볼 게 있어. 세계적인 경제 위기가 와서 산업, 가정, 공공부문 모두에서 인간 활동이 줄어 탄소 배출량이 줄었다면, 결국 총 배출량도 줄어. 즉 단순히 분야별 탄소 배출량을 더해서 탄소 배출량을 표현하는 건 한계가 있어. 따라서 지금보다 조금 더 많은 변수를 고려해야 해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동아리 활동과 입시, 전공 등에 관해 조언을 듣는다. 이외에도 코딩처럼 창업이나 메이커 활동에 필요하지만 어려운 기술은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공부하는 선배가 찾아와 지도하기도 한다.교사와 학생, 선배와 후배 사이의 수평적인 관계도 동아리 인기 비결로 꼽았다. 하 교사는 “예전에는 교사가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지구사랑탐사대 최고참 팀인 닥터구리 팀의 유다은 대원이 큰 상을 받았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친구와 함께 팀을 이뤄 참가한 ‘제6회 ... 않는 친구들이 있다면 2020년 지구사랑탐사대 8기에 꼭 도전하라고 말해 주고 싶어요. 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자연스레 탐사력이 쑥쑥 자랄 거예요.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유상홍 해설자.④ 저어새네트워크 남선정 사무국장.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는 시민과학자들마지막으로 지구사랑탐사대처럼 시민들과 생물종을 찾거나 연구하는 단체가 발표자로 나섰어요. “똥 속의 미생물 생태계를 알아내고 있어요.” 천랩 스마일바이오미 김남일 연구원이 연구 주제를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저장해 뒀다가 필요한 장기에 조금씩 보낼 수 있지. 그러면 심박수가 변해. 이를 통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야. 잠수할 때는 심박수를 1분에 2회까지 줄여 에너지를 최대한 적게 써. 크릴새우를 먹고 소화할 때는 에너지를 많이 쓰기 때문에 심박수가 분당 8회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