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지금 ‘멘델의 법칙’이라 불리는 것들이 ‘더프리스의 법칙’이라 불리기를 원했던
모양
이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독립적으로 멘델의 법칙을 재발견한 코렌스는 보다 양심적이었다. 멘델을 모른 채로 멘델의 결과를 얻었던 코렌스는 논문을 준비하며 문헌을 찾아보던 중 멘델의 연구결과를 ... ...
CT·X선 조합 첨단기술로 '하와라 초상화 4번 미라' 비밀 풀었다
연합뉴스
l
2020.11.26
점은 장기가 모두 꺼내진 미라의 배 부분에서 발견된 방해석으로 만들어진 풍뎅이
모양
의 7㎜짜리 조각이었다. 고대 이집트에서 풍뎅이는 재생의 상징이었다는 점에서 이 조각은 내세에서 고인의 영혼을 지켜달라는 의미의 부적인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연구진은 풍뎅이 조각이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다공성 물질이다. MOF는 합성에 쓰이는 금속산화물과 리간드의 종류에 따라 구멍의 수,
모양
, 구조가 달라 이론적으론 수많은 종류를 만들 수 있다. 이우황 올레핀분리팀 팀장은 “MOF의 종류는 2017년 기준 약 8만 종류가 발견됐고, 이 중 흡착제로 쓸 수 있는 물질은 대략 1만 개 정도”라며 “종류가 26 ... ...
한국형 인공태양 1억도서 20초간 플라스마 발생…세계 최초 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게 KSTAR다. 윤시우 핵융합연 KSTAR연구센터장은 “KSTAR는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도넛
모양
의 토카막이라는 장치에 고온의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가둬 놓는다”며 “초전도 자석 제작, 플라스마 제어 등 핵융합을 일으키는 핵심기술은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핵융합 반응이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뭉치는 일을 막고 긴 DNA 사슬이 엉키지 않도록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DNA는 긴 실과 같은
모양
이라 엉기기 쉬운데, 히스톤 단백질이 중간중간 마치 실을 감은 실패처럼 작용해 DNA의 엉김을 방지한다. 세포는 필요한 때에만 실패(히스톤)를 느슨하게 해 그 안에 감긴 실(DNA)을 풀어 유전자 발현이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Y자
모양
의 면역단백질인 항체 IgG가 두 개 연결된 형태다. 참고로 IgM은 IgG 다섯 개가 별
모양
으로 연결된 형태다. 다음에는 모유에 있는 항체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하는지 알아봤다. 코로나 완치 산모의 모유 시료는 모두 과거 노출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 결합 ... ...
혈관질환 줄기세포 치료제 체내 이동 관찰하고 효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모양
’이다. 이 두가지 형태로 실험군을 분류해 치료 효능을 관찰할 결과 ‘둥근
모양
’의 실험군에서 세포가 더 잘 이동하고 치료 효능이 좋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광명 KIST 책임연구원은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허혈성 질환 치료 효능을 초기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해 허혈성 질환 치료를 위한 ... ...
KAIST, 물체 휘는 느낌 전달하는 VR 컨트롤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탄력이 대표적인 휨 강성이다. 기존 VR 컨트롤러는 손에 쥐고 있는 가상 물체의 무게와
모양
,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 집중돼있어 가상 물체를 쥐고 휘두를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갑작스럽게 움직임을 멈출 때 생기는 반동을 재현하기 힘들었다. 연구팀은 휨 강성을 구현하기 위해 막대 컨트롤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히스톤에 달라붙어 지난 4월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별사탕
모양
)이 VTA 도파민 뉴런 히스톤의 글루타민(Q)에 달라붙어(효소(TGM2)의 작용으로) 후성유전적 작용으로 코카인 중독 행동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오른쪽 그림은 도파민 분자(위)가 글루타민 ... ...
[코로나19 연구속보] 병주고 약주는 코로나19 변이, 감염 10배 빠르지만 백신에 취약
2020.11.16
세포에 침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능력을 향상시켜 지배종이 됐다고 믿는다. 이 왕관
모양
의 스파이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이 지어졌다. D614G 변이는 스파이크 끝에 있는 덮개를 열어젖혀 바이러스가 세포에 좀 더 효과적으로 감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또한 바이러스의 취약한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