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면"(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첨단 기술이 낳은 세련됨… 날렵한 ‘쿠페’동아일보 l2015.12.22
- 대표적이다. 디스플레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계기판에 넣은 점, 내비게이션 화면과 속도계·RPM 계기판 크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은 혁신이라고 해야겠다. 또 대시보드에 있는 송풍구 가운데에 송풍 방향 및 에어컨 세기, 좌석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을 만들어 놓아 ... ...
- ‘문제적’ 지주연, 멘사 회원+전교 1등+서울대 출신… 역대급 ‘뇌섹녀’동아닷컴 l2015.12.21
- KBS1 ‘당신만이 내 사랑’ 등에 출연하며 활동했다. 문제적 지주연. 사진=문제적남자 방송화면 캡처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 [고&스톱-크로아티아 자다르 上] 바다가 연주하는 오르간과 밤에 만나는 태양의 인사2015.12.20
- 합니다. 언제 떠날수 있을지, 정말로 그곳에 가게 될지 모르지만, 손바닥보다 작은 화면을 보면서, 여행삼매경에 빠지곤 합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지금 어디에 있든, 자리를 박차고 떠날 수 있는 좋은 곳들을 전해드립니다. 저희와 함께 떠나보시죠! 해질 무렵 바다오르간 - 고기은 제공 ... ...
- [한파, 무섭지 않아요 ② : 보온력 측정의 비밀] 인간 대신할 ‘서멀마네킹’이라 전해라~2015.12.16
- 벗어 마네킹에 입히자 마네킹이 소비하는 전기에너지가 감소하면서 전체 보온력이 화면에 표시됐다. 처음에는 약 0.7클로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높아져 약 0.9클로로 측정됐다. 황 팀장은 “의복과의 열평형, 주변 환경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며 “1시간쯤 지나야 ... ...
- 사람앞 나서는 게 두려운 ‘사회공포증’… ‘아바타’ 치료로 일상 복귀동아일보 l2015.12.14
- 제안, 직장 동료와 대화 등 수십 가지 상황을 설정해 연습시키기도 한다. ‘데이트’ 화면을 선택하면 귀엽게 생긴 여자 주인공이 나타나 “우리 어디 갈까?” 하고 묻는다. 환자가 아무 말 못 하면 임상심리사가 환자한테 “여기에 답해 보라”고 대답을 유도하기도 한다. 환자는 이때 ... ...
- 한발 빠른 투자… 빛난 OLED 뚝심동아일보 l2015.12.10
- 기존 발광다이오드(LED) TV보다 응답 속도도 100배 이상 빨라 잔상(殘像)이 없는 자연스러운 화면을 구현한다. 광원(백라이트)이 필요 없어 두께가 얇고 전력효율도 좋아 차세대 초고화질 TV로 꼽힌다. LG전자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한국에 내놓으면서 TV 시장에 혁명을 일으켰다. ... ...
- 태백산 광맥, ‘3D’ 모델링으로 찾는다2015.12.09
- 태백산 광화대 3D 지질모델을 시연하고 있다 - 염재윤 기자 dsjy@donga.com 제공 화면에 단층구조, 지층 등 지하 구조가 선명히 표현된 3D 그래픽이 나왔다. 2차원 지질도로는 확인할 수 없는 수백~수천m 지하의 모습이었다. 3D 지질모델을 시연한 오현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은 “3D ... ...
- “코딩이 이렇게 쉽다면 드론도 만들 수 있을 것”2015.12.04
- 처음 접했지만 금세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듯했다. 강사의 설명에 따라 태블릿PC 화면 위로 손가락을 몇 번 왔다갔다 하더니 금세 코딩을 끝내는 학생도 있었다. 코딩은 아이루프 전용 앱(App)에 나타나는 원 위에, 원하는 아이콘을 차례로 올려놓는 방식이다. 아이콘은 어떤 명령이나 기능을 나타낸다. ... ...
- ‘코딩’으로 크리스마스트리 전구 켜 볼까2015.12.03
- 빨갛고 파랗고 노란 발광다이오드(LED) 전구도 이 순서를 따라 쉽게 켤 수 있다. 스마트폰 화면에서 전구 모양 아이콘을 끌어와 루프 위에 얹기만 하면 된다. 스마트폰과 크리스마스트리가 블루투스로 연결돼 있어 아이콘을 루프에 얹으면 전구에 반짝하고 불이 들어온다. 간단한 게임 같지만 사실 ... ...
- 주변시의 비밀, 뇌에 있었네2015.11.30
- 추가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해리슨 연구원 팀이 실험 참가자들에게 보여준 화면. 왼쪽의 파란 점에 초점을 맞추고 오른쪽 C 모양 고리의 각도를 맞추도록 했다. - 영국 케임브리지대 제공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두 고리의 각도가 비슷할 때 혼란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