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모혜정 교수는 매우 편안하고 인자한 모습이었다. 30여
년
동안 몸담았던 교수직을 정
년
퇴임하고 현재 지방에 내려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고 있는 모혜정 교수는 이공계 여학생으로서 가야 할 길과 더불어 인생에 교훈이 되는 많은 조언들을 아낌없이 들려줬다.그녀는 수학을 무척 잘하고 좋아하는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that day. 해석 기억으로서의 사진들 클레어 로버트슨은 49세의 전직 간호사다. 그녀는 6
년
전 헤르페스 뇌염이라는 희귀병에 감염돼 뇌손상을 입었다. 지금은 사람의 얼굴도 인식하지 못하는 기억상실증 환자가 된 클레어는 평생 사귄 친구가 낯선 사람으로 다가오는 세계에 살고 있다. 기억은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다크호스 중국1980
년
대 세계 경제를 주름잡던 일본은 1990
년
대 장기침체를 거쳐 2000
년
대 IT시대를 맞아 미국에게 완전히 주도권을 뺏겼다. 게놈연구 역시 현재 미국이 앞서가고 있다. 1000게놈프로젝트나 개인게놈프로젝트(PGP)도 미국이 주축이다. 최근에는 중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막대한 투자를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안전성은 크게 높아질 것이다.이런 기술은 실제로 개발되고 있다. 현실화된다면 몇
년
이 지난 건물도 새것처럼 깨끗할 것이다. 자동차 흠집이 자동으로 복구되는 세상이 오면 자동차 수리점의 일거리도 줄어든다. 빌딩 같은 건축물도 자기 스스로 치료하는 능력을 갖게 될 전망이다. 우주왕복선의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소 실험을 진행했다.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는 스크램제트 엔진 기술을 확보한 뒤 2011
년
부터는 탄화수소를 이용한 엔진 개발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 ...
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41%가 멸종 위기에 놓여 있었다.지도로 본 멸종위기종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2010
년
도 적색목록집(RedList)에 실린 주요 국가의 멸종위기종 수를 지도에 표시해 보았다. 지도에서 높이 도드라질수록 멸종위기종도 많다.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대륙에 특히 많은 종이 위기에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현대과학의 개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20여
년
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김 소장은 “미국이나 유럽은 각국의 전통의학이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면 적극 도입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집단이기주의로 밥그릇싸움을 하느라 이런 시너지 효과를 못 내는 것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꼽는 것에 대해 나도 동감하고 있다. 사고 뒤에는 항상 내가 있다1986
년
과 2003
년
에 각각 나의 형 챌린저호와 콜롬비아호를 사고로 잃은 것은 내 인생에서 가장 끔찍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14명의 소중한 생명을 잃은 충격에 NASA는 한동안 모든 우주수송시스템(STS)을 중단했다. 하지만 이대로 모든 ... ...
G20 정상회의 개최로 본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몇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1월 11~12일 서울에서 제5차 G20정상회의가 열렸다. 2008
년
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생긴 G20은 기존의 선진국 정상 모임인 G7에 신흥 12개국과 유럽연합(EU)을 포함시킨 모임이다. G20의 일원이 됐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렇게 경제가 발전하는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3척과 1000t이 넘는 배 2척으로 고층 대기, 해상, 해양을 종합관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내
년
부터 기상1호로 이 대열에 참여한다.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첫 번째 관측선이지만 규모로 볼 때 아쉬움이 많다. 톤수로 보면 일본의 가장 작은 관측선과 비슷하다.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에서 ... ...
이전
1207
1208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