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매우 기나긴 세월이고 우리의 시야로부터 그 아름다운 테가 사라질 것을 걱정할
필요
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하더라도, 그토록 멋있는 것이 영구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Saturn's Rings Will Not Last ForeverLuke Dones of the Canadian Institute for Theoretica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왜 그러한 변화를 하는지에 관한 해답은 없으며 앞으로 더 긴 기간의 관측자료가
필요
하다. 태양의 흑점수가 증가하면 태양의 방출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은 흑점수와 기후변동을 연관 지으려 했으나 이것 역시 뚜렷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지구자전과 기후 지구궤도의 변화도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횡포판다는 죽순을 주식으로 하는데 소화력이 워낙 약해 하루종일 먹어대야 겨우 생존에
필요
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는 경작지가 부족해 성(省)정부나 농민들이 모두 대나무숲을 잘라내고 거기에 논밭을 일구어야 할 상황이다.많은 동물전문가들은 판다에게 가장 좋은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연구수행'을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나 불행하게도 이들은 주무부처가 정책 집행에
필요
해서 지시한 연구를 수동적으로 집행하는 데 그치고 있다. 불편부당하고 중립적인 연구가 아닌 정치적 연구수행이 주류를 이룰 수밖에 없는 구조다.이같은 구조 아래에서 정부출연연구소들은 기관장을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생물들이 바로 그렇게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종과 종을 이어주는 전이형태가
필요
없게 된다. 아무튼 이 이론은 오랜 세월 동안 점진적으로 서서히 변화한다는 다윈의 주장과 상반되는 것이다.그런데 이 이론도 생물간의 간격이 커질 경우 설 땅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개와 늑대, 쥐와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때 생성된 소금침전물을 은신처로 삼았을 것이다. 로스실드는 이 소금침전물이 광합성에
필요
한 만큼의 가시광선은 통과시키면서 대부분의 자외선은 차단시킨다고 확신한다. 게다가 소금은 이산화탄소나 질소와 같은 기체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엔도이배포레이츠는 화성대기중에 있는 질소와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쉽게 보이는 반면에, '플로리다'와 '멕시코 만'지역은 11(배)×80급 이상의 쌍안경이
필요
하다. 매우 확산된 '서부 해안'지역은 거의 구별하기 어렵다.북아메리카 성운을 여러번 관찰한 후라면 그속의 산개성단 NGC6996에 도전해 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오대호'위치와 비슷한 곳에 40여개의 희미한 별들이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것입니다. 학교컴퓨터교육도 마찬가지로 학생들에게 정보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
한 기본 능력을 길러주고 컴퓨터를 교육도구로 활융해 다른 과목의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자는 것입니다.조-컴퓨터는 '만능'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진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심지어 어떤 학부모는 아이에게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보인다. 그 고리모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구경이 1백㎜ 이상인 망원경이
필요
하다. 고리 중심에 있는 별은 15등급으로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망원경으로 찾기에는 너무 희미한 별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망원경으로 보는 M 57은 장노출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인상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 ...
야구방망이 손잡이를 지나치게 꽉 쥐지 말 것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럴듯한 설명과 함께.그러나 최근에 공과 방망이가 닿는 순간에는 손잡이를 꼭 잡을
필요
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야구계의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펜실베이니어대학의 물리학자 하워드 브로디는 임팩트 순간 손잡이를 어떻게 잡건 간에 타구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 그는 ... ...
이전
1208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