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소식을 전했다.북극의 생태에도 이미 많은 변화가 있었던 걸까. 지난해까지 만해도 캠프
근처
에서 가끔 눈에 띄었다던 북극곰을 볼 수 없으니 말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준비한 강 단장 어깨의 장총이 괜시리 거추장스러워 보였다.북극 빙하의 뜨거운 눈물프랑스에서 온 레옹 바라닷(14) 군은 ... ...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것이 아니냐고 의심해 박사학위도 못 받고 쫓겨나지 않을까 걱정했거든요. 실험실
근처
에 있던, 골이 파인 함석지붕 건물에서 반사된 전파도 아니었고 인공위성이나 다른 실험실에서 오는 신호도 아니었죠. 급기야 외계문명이 보내는 신호일지 모른다고 생각해 ‘작은 초록 외계인’(LGM)이라고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쉽지 않다.맑은 날 별자리지도를 가지고 어두운 곳에 나가 천왕성을 찾아보자. 물병자리
근처
에서 별자리지도에 나타나 있지 않는데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천체가 있다면 그 천체가 바로 천왕성이다.천왕성을 낮은 배율의 망원경으로 보면 다른 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배율이 100배가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54° 40′이므로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의 남쪽 한계에 있다. 하지만 지평선
근처
의 별은 시간을 잘 맞춰 최대 고도일 때를 잡지 않으면 잘 식별할 수 없다. 노인성은 주로 춘분(3월 21일경) 저녁과 추분(9월 23일경) 아침에 관측한다. 추분은 노인성을 처음 볼 수 있는 날이고 춘분은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허풍쟁이로 유명한 허영감님과 공영감님. 장날만 되면 서로 만나 허풍을 치는 통에
근처
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란다.“내 말을 좀 믿어 줘. 내가 아무리 뻥쟁이라지만 진실을 말할 때도 있는 거라구. 나도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우리 집 계량기는 어느 날부턴가 거꾸로 돌아간다니깐 ... ...
킁킁~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 아파트로 이사 갈까?집에 다 올 때쯤 달콤 쌉쌀한 초콜릿향이 다시 발길을 붙잡는다.
근처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초콜릿 아이스크림 한 통을 사서 집으로 향한다. 집에서는 된장찌개 냄새가 솔솔 풍겨나오고 있다. 아! 배고파! 지금 이 순간, 그 어느 향기보다 된장찌개 냄새가 향기롭다!지금은 향기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별’(Sidus Ludovicianu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알코르에 루드비히의 별까지 포함하면 미자르
근처
에서 볼 수 있는 별은 3개다. 하지만 망원경의 성능을 더 높이면 별의수가 더 늘어난다. 미자르가 다른 별과 중력에 묶여 이중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미자르는 이중성 연구의 ‘보물창고’라고 불러도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숙했던 온도 조절 뇌중추가 발달하면서 갈색지방세포가 퇴화하기 때문이다.피하지방
근처
에는 피부밑신경이라는 얇은 신경이 있다. 메스를 피부 깊숙이 찌르면 쉽게 끊어질 수 있어 해부할 때 조심해야 한다.사실 공포영화를 볼 때 머리털이 쭈뼛 서거나 손에 땀이 나는 이유는 뇌가 느낀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천문학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 북두칠성은 북극성
근처
에 있고 견우성은 적도
근처
에 있으므로 ‘북두성과 견우성 사이’라면 하늘에서 각도로는 약 90° 범위의 넓은 지역이라 달이 배회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전혀 없어져버린다. 누군가 서성이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면서 ‘종로와 청계천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칼과 유사하게 만들어진 석기 1963년에 우리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
의 패총(貝塚) 밑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