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구"(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꼭꼭 숨은 금속 찾아내는 맴돌이 전류과학동아 l2007년 03호
- 가족과 함께 떠나는 즐거운 해외여행. 들뜬 마음으로 비행기에 오르기 전 안전검색을 위해 지나가야 할 문이 있다. 문을 통과하면 공항 직원이 밥주걱처럼 생 ... 되도록이면 이를 없애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요즘은 오히려 맴돌이 전류를 이용해 편리한 도구를 많이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열대밀림에 도시를 세우고 건축술, 천문학, 수학에서 찬란한 문명을 이룩했다. 철제도구도 없이 석회암이나 단단한 나무로 대들보를 만들어 거대한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1년(365.2420일)과 한달(29.5320일)의 길이를 정확히 파악했으며 세계 최초로 0을 이해하고 사용했다.하지만 마야인들은 9세기말 ...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발표하자 관련 학계에 큰 반향이 일었다. 캠벌 교수가 단순히 이중나선 구조를 풀어주는 도구라고 봤던 Dna2가 전혀 다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논란이 확산된 것. 결국 연구단의 논문은 세계 학계의 폭넓은 지지를 얻었고, Dna2의 가치도 자연스럽게 올라갔다.Dna2가 복제를 안정적으로 ... ...
- 우주로 이사가는날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2호
- 08년부터 달에 로봇을 보내 달을 탐사하고, 우주왕복선으로 달기지 건설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들을 실어 나를 계획이다. 달기지는 얼음층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달의 남극쪽에 세워, 얼음층에서 물과 수소를 얻어 귀중한 자원으로 쓸 계획이다.잠깐~!❶ 지난 2006년 10월 미국 코넬대연구팀은 남극의 ...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발전할까. 현재 수술로봇은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통증과 상처를 최소화하는 보조도구 정도지만 앞으로 수술 전 과정을 로봇 혼자서 하고 의사는 수술과정을 확인만 하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여기에는 가상현실 구현시스템과 ‘촉각 장비’(haptic device)를 결합해 만든 ‘수술계획장비’를 ...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전신수영복처럼 결맞는X선연구단의 남창희 교수는 펨토초(10-15초) 레이저를 강력한 도구 삼아 아토초의 벽을 뛰어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더 짧은 펄스를 만드는 일이 관건결맞는X선연구단은 미시세계를 열어줄 레이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분자는 100펨토초마다 한바퀴씩 회전한다. 1펨토초는 100 ...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4호
- 반짝이는 화려한 옷을 입고 있고 말야. 그런데 이 모든게 마술을 이루는 중요한 도구라는거, 알고있니? 왜냐 하면 마술을 할 때는 사람들의 시선이나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는 게 매우 중요하거든. 그래야 사람들이 다른 곳을 보고 있을 때 재빠르게 어떤 기술이나 손놀림을 이용해 마술을 할 ... ...
- 다이어트, 운동이 최고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도와 줍니다.● 달리기 30분 168㎉ = 생과일 오렌지 주스 1잔(무설탕)특별한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 없어요. 심장과 허파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심폐 지구력을 높여 주지요.● 수영 30분 189㎉ = 삼각김밥 1개온몸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를 고르게 발달시켜 줍니다. 또한 물 속에서 움직이면 땅에서보다 더 ... ...
- 살은 왜 찌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0호
- 양은 적고 지방의 양이 많다면 비만이랍니다. 가장 정확한 비만 판단 방법이지만 측정 도구가 없으면 하기 어려워요.2. 비만도 그래프로 알아보기키와 몸무게가 만나는 점이 어딘가요? 그 곳이 바로 내가 뚱뚱한지, 정상인지, 마른 것인지를 알려 주는 지점이랍니다. . 살 왜 빼야 해?비만으로 ...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9호
- 총을 두고 간다면 어떻게 될까? 생물학자나 의학자에게 현미경은 병사의 총처럼 소중한 도구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눈에 보이지 않던 미세한 세계를 관찰할 수 있었고 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오늘날 현미경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과학 분야 전반에서 활약하고 있다. 물리학자는 원자의 표면을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