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모르는 생물이라면 직접 자신이 이름을 붙였다. ‘자산어보’에 등장하는 생물들의
반
은 정약전이 직접 명명한 것이다. 또 그는 특정 생물이 어떤 집단에 소속돼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그래서 정약전은 비슷한 생태적 특성을 지닌 종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상위의 범주, 즉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관측소와 위성의 거리를 알아내는 데 필요한 핵심 장비인 레이저
반
사경을 과학기술위성 2호가 궤도에 정확히 올라가도록 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었다. 여기서 축적한 노하우는 레이저를 쏴 지표의 높낮이를 측정하거나 소형 위성 간의 거리를 오차 없이 측정해 편대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피워 석쇠 발갛게 달구어 전어를 굽자생소금 뿌리며 구수한 가을 바다를 통째로 굽자한
반
도 남쪽 바다에 앉아 우라나라 가을 전어 굽는 내음을아시아로 유라시아 대륙으로 즐겁게 피워 올리자시인 정일근이 쓴 ‘가을전어’다. 이 시에서처럼 한국인의 정서가 담뿍 담긴 가을 전어는 입맛을 당기는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비는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죠.이를 복숭아에 적용하면 복숭아의 부피는
반
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해요. 지름이 10cm인 복숭아 4개와 지름이 8cm인 복숭아 7개의 부피의 비는 5×5×5×4개 : 4×4×4×7개이므로 500 : 448이랍니다. 결국 작은 복숭아 7개보다 큰 복숭아 4개를 사는 것이 이익이군요.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다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거죠. 그 결과 연구진은 레코드판 진열대를
반
으로 나눠 CD 케이스를 2줄로 진열할 수 있는 크기로 케이스를 만들기로 결정했어요.DVD 케이스도 마찬가지였어요. 여러분은 DVD 케이스가 비디오 테이프와 높이가 같다는 걸 알았나요? DVD가 나오기 전까지 널리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기 때문이다.‘ UDMH’라는 화학연료와 사산화질소 산화제로 만든 연료는 로켓에 넣고
반
년 정도는 저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미리 연료를 넣어 놓으면 6개월 동안은 미사일처럼 쓸 수 있다.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은하 2호의 1, 2단계 로켓이 바로 이 연료를 썼기 때문에 미사일인지 우주발사체인지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 없다. 한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의 서거 50주년을 맞이해 한
반
도에도 육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중화녹두 1호’를 개발하며 40여 년 동안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안쪽의 알루미늄은 산소로부터 보호를 받는다.따라서 산화알루미늄피막 덕분에 산소와
반
응이 늦어진 알루미늄은 오히려 철보다 늦게 산화된다.베트남의 길거리를 걷다보면 음료수 캔을 재활용해 만든 모자를 판매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모자의 소재는 모두 알루미늄 캔이다. 베트남처럼 기온과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주입해 살아남는 BC1만 골라 A와 교배한다. 이 같은 역교배 과정을 적어도 5, 6번은
반
복해야 A를 99% 이상 닮고 B의 병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얻을 수 있다. 전통육종이 많게는 수십 년이 걸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가 나올 때마다 병원균을 접종하는 일도 여간 번거롭지 않다.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의식을 잃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하지만 도스토옙스키와 고흐가 앓은 간질은 일
반
간질과 증상이 조금 다르다. 이들의 정확한 병명은 측두엽 간질. 측두엽 간질 환자는 간혹 실제로 나지 않는 냄새를 맡거나, 실제로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 맛이 난다고 느낄 때가 있다. 한 경우 환청을 듣기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