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d라이브러리
"
생명체
"(으)로 총 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장기가 만들어지는 근원이 되는 세포. 몸을 구성하는 2백10 종류의 세포로 자랄 수 있어
생명체
의 근간을 이룬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줄기세포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채 10년이 되지 않았다. 1998년 10월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박사와 존스홉킨스대 존 기어하트 박사는 인간의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개발된다고 해도 스팸메일이 근절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는 거의 없다.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
같은 인터넷의 특성상 어디엔가 허점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란지교소프트 안티스팸연구실 윤두식 부장은 “스팸인지 정상인지 판단은 메일을 받아본 개개인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며 “어떤 ... ...
남극 생물보존 위해 개발 자제해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때문이다. 좀처럼 생물이 살기 어려울 것 같던 남극에서도 잘 적응해 살아가는
생명체
들의 존재가 알려진 뒤 이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들이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남은 전략을 밝혀내면 신약개발의 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런 생물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자칫 미묘한 ... ...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보내온 영상을 필터로 조작해 일반적인 인식처럼 붉은색으로 보이게 만들었고 심지어
생명체
의 존재를 감추려고 초록색으로 된 표면 일부를 없앴다고 주장했다.물론 NASA의 컬러 보정과정을 조작이라고 말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이 많다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먼저 토로했다.인간 배아 복제는 인간 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하나의
생명체
일 수도 있는 배아를 파괴해야 한다는 문제, 그리고 난자 제공자에게 호르몬 주사로 과배란을 억지로 유도해야 한다는 문제 등을 갖고 있다.황 교수는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들과 배아 복제 외에 다른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연이 영감을 줄지언정 실제 적용은 어렵다는 얘기다.
생명체
가 오래 전에 만들어 놓은 자연의 발명품 광구조가 과학자들의 손끝에서 화려하게 변신할 날도 머지 않았다.몰포나비 날개 파란색의 비밀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빛, 즉 가시광선은 파장이 4백-7백nm(나노미터,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그냥 지나가 버리게 된다살아 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그 생존 ㄴ으력을 박탈하는 것
생명체
에 유해한 미생물이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용기와 기물 등의 미생물을 사멸시켜 무균 상태로 하는 것굳지 않는 진흙 퇴적물이 건조해 수축할 때 그 표면에 생기는 다각형의 균열 진흙이 물속에 쌓인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금성에도
생명체
가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다. 금성 대기 상층부에
생명체
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스피릿은 물을 본 건가? 탄산염과 수화물 포착 스피릿은 착륙 3시간 후부터 시시각각으로 화성 사진을 보내오고 있다. 이 사진들은 지금까지의 화성모습을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말이 나오지 않을까.한편에서는 자칫 인체에 해롭거나 생태계를 교란시킬 인공
생명체
가 탄생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과학자들은 인공미생물이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실험실 환경에서만 자랄 수 있는데다 유해한 유전자가 모두 제거됐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에
생명체
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보통 혜성은 태양계 외곽에서 출발해 태양을 여러번 돌면서 자신의 물질을 태우거나 우주공간에 뿌린다. 빌트2 혜성은 비교적 최근에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