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폴 로데문트 교수 단독 저자로 발표된 논문에는 DNA로 만든 정사각형, 별, 웃는
얼굴
등 다양한 나노구조물의 원자힘현미경 사진이 실려 있다.로데문트 교수는 7000여 개 염기 길이의 DNA단일가닥을 주재료(골격)로 이용했다. 실제로는 한 바이러스의 게놈이다. 예를 들어 나노 사각형을 만든다고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었습니다. 온몸에 어두운 기운을 드리우고 다니던 친구들 무리 속에서 유독 소년의
얼굴
만 환하게 빛났습니다. 당연히 질문 공세가 이어졌지요.“야, 이쁘냐?”“몇 살이야?”“뭐? 얼마나 됐어? 걔가 너한테 관심은 있대?”“걔 친구 중에 예쁜 애 없냐?”보시다시피 질문의 수준이 높지는 ... ...
소리 분리해 소음·잡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소리를 분리하다스마트TV의 음성명령이 소란한 환경에서도 정확히 작동할 수 있는 것은 소리를 분리하는 특별한 기술 덕분이다. 우선 주변 소음과 사 ... 스마트 TV는 전원을 끄거나 켤 때, 또는 TV조작을 처음 시작할 때 미리 등록해 놓은
얼굴
인식이 이뤄져야 작동하는 기능이 들어가 있다 ... ...
올빼미vs부엉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조류.금눈쇠올빼미‘올빼미’라는 이름이 들어간 종은 대개
얼굴
이 둥근 공통점이 있지만 각 종마다 생김새가 다르답니다. 솔부엉이솔부엉이는 부엉이류에 속하긴 하지만 귀깃이 없어요. 이처럼 부엉이류 안에서도 종마다 차이가 있답니다 큰소쩍새올빼미과에 속한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오곡밥의 비빌어때? 대보름에는 맛있는 먹거리들이 정말 많지? 그런데 보름이
얼굴
을 보니 아직도 오 곡밥이 싫은 표정이네~. 여러 가지 잡곡이 들어 있는 오곡밥보다 부드럽고 달착지근한 흰 쌀밥이 더 맛있다고 생각하는구나? 하지만 오곡밥에 대해 조금 더 알면 생각이 달라질걸?오곡에 영양이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중에서도 괴팍하기로 소문난 녀석이야. 이 모일러 정원도 유명하지. 거대한 숲을 자신의
얼굴
모양 미로로 만들어 놓고, 헤매는 사람들을 관찰하지. 악취미도 이런 악취미가 없지?”이 때 위에서 검은 그림자가 폴리스를 향해 갑자기 다가왔다. 폴리스는 재빨리 허리를 구부려 피했다. 놀란 폴이 검은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비치네~♪”한 발짝 앞도 보이지 않은 캄캄한 밤을 경험해 본적 있나요? 바로 옆 사람
얼굴
도 안 보일 정도로 무섭지만 그 순간 하늘을 올려다보면 쏟아질 것 같은 별을 볼 수가 있답니다. 이 별빛은 어디서부터 온 것일까요? 천문학자 박석재 연구위원을 만나 물어 볼까요? 박석재 연구위원은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등장했다.
얼굴
의 크기는 더욱 커지고 팔다리는 짧아진 셈이다. 몸의 비율뿐 아니라
얼굴
도 갈수록 둥근 형태로 변했다. 최윤선 부천대학 만화&2D영상그래픽전공 교수는 “시대의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캐릭터의 성공 비결”이라며 “캐릭터를 개발할 때 철저한 시장조사가 필수”라고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런데 4주가 지나자 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귀에 찌거기가 차자 밤에 진드기가
얼굴
을 기어다녔다. 귀속이 찌꺼기로 완전히 막히자 그는 물로 귀를 씻어내고 실험의 정확성을 위해 오른쪽 귀에 또 한 번 실험을 했다.그런데 이상했다. 처음에는 비슷했지만 2주가 지나자 진드기의 움직임이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지난 2005년 캐나다 토론토 아동병원에서도 생후 6개월 때
얼굴
표정이나 눈의 움직임 같은 증세로 자폐증을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뇌에서 차이점을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폐증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상대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