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도시공원은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원이 사라지면 동물들이 슬프겠지만, 인간은 큰 상관없는 거 아니냐고? 모르는 말씀! 그동안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던 공원의 중요성을 알려 줄게. 공원이 적을수록 여름이 길어진다? 도시공원이 사라지면 여름이 길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국립환경과학원 연구팀은 2016년 11월부터 1년 ... ...
- 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실 도시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회·경제적인 활동을 하는 장소야. 공원도 필요하지만, 도로나 건물 등도 도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지. 모두 함께 존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지하화 되는 도로, 살아나는 도시 공원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인 보스톤은 과거 교통정체로 악명 ... ...
- [과학뉴스] 심해에서 알을 낳는 문어 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5000m 아래 심해에서 신종 문어 떼가 포착됐어요. 미국 필드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은 태평양의 해저 화산을 조사하던 중 100마리가 넘는 문어들이 바위에 알을 낳는 모습을 발견했어요. 그런데 이 심해는 수압도 강하고 수온도 높아 문어가 살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에요. 연구진은 “차가운 물이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탑재할 수 있도록 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도 개발 중이다. 가령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일본은 위치 정보에 재난 정보를 추가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현재 국가에서 알리는 긴급 메시지는 기술적인 이유로 이동통신 사용자만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성층권의 오존량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1985년 조셉 파먼 영국 자연환경연구위원회 박사는 장기간 지상 관측을 통해 남극에서 오존홀(오존구멍)이 발생한 현상을 공식적으로 학계에 처음 보고했습니다.doi:10.1038/315207a0 1986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오존을 연구하던 수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효율 개선을 위한 탄소 포인트 제도, 친환경 자동차 구매 지원 제도와 같은 정책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 중 하나다. 독자 여러분도 자원을 재활용하고, 수도와 전기를 절약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작은 일부터 실천해보길 바란다 ... ...
- Part 1. 위기에 처한 도시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라진다? 강아지와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 도시공원은 시민들이 도시 속에서 자연과 함께 쉴 수 있는 소중한 장소예요. 그런데 전체 공원 면적의 74%가 자칫 사라질 위기에 처했어요. 여의도의 300배에 해당하는 면적이지요. 바로 2020년 시행되는 ‘도시공원 일몰제’ 때문이에요. 1999년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원은 나처럼 다양한 생물이 사는 곳이기도 해. 울창한 산으로 이루어진 공원뿐만 아니라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원에도 많은 생물이 살고 있지. 아파트 숲은 작은 국립공원!도시공원에는 식물, 곤충, 새 등 여러 생물 종이 작은 생태계를 이루며 살고 있어요. 2010년 서울시의 조사 결과 청계산, ... ...
- 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우리집 주변에는 공원이 없다고? 천만에! 집을 나서자마자 만날 수 있는 공원이 있지! 바로 도로변에 길게 늘어져 있는 가로수야~! 가로수가 위험하다!가로수는 도로를 아름답게 만들고, 차도의 오염물질과 소음이 인도로 넘어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해요. 그런데 가로수가 썩거나 제대로 성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코요테로부터 격리하는 연구도 진행됐다.doi:10.1016/j.biocon.2015.09.003 에릭 지즈 유타주립대 자연자원과 교수는 “코이울프는 생태계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며 “코요테와의 교잡은 붉은늑대의 존속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밝혔다. 코이울프가 빠르게 번성한 이유는 개과의 특수성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