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1만K이다.촬영감독은 이 색온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조명과 촬영할 색을 적절히 조절한다. 텅스텐 조명은 3200K, 촛불 2200K 등 이미 여러 광원이나 조명에 대한 색온도가 정해져 있어,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쉽게 색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둑어둑한 저녁을 만들고 싶으면 조명을 2200K으로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있어요. 건물에 햇볕이 얼마나 들어오느냐에 따라 자동으로 열렸다 닫히면서 온도를 조절한답니다. 손톱으로 소리 듣는 마술사실로폰을 닮은 달팽이관 속 음판을 흉내 내면 개미가 기어가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을 만큼 예민한 전자 귀를 만들 수 있어요. 달팽이관으로들어간 소리가 전기신호로 ... ...
- [수학실험실] 기하 문제를 푸는 만능열쇠 갈릴레오 컴퍼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갈릴레이는 먼저 금속자 두 개를 연결했다. 두 자를 다리 삼아 원하는 대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일종의 각도기인 ‘쿼드란트’도 두 다리에 연결했다. 장비 하나로 길이뿐만 아니라 각도도 잴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두 자에는 일곱 종류의 눈금을 표시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따라하는 거야. 마루Ⅲ의 팔과 발에는 힘이 얼마나 작용하는지 알아내 몸의 균형을 조절하는 파란색 센서가 있어. 눈에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도 달려 있지. 센서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가 분석해서 로봇이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린단다. KIST 실감교류로보틱스연구센터 연구팀은 마루Ⅲ를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32%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베일에 쌓인 부분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환경만 조절하면 15cm 더 클 수 있다먼저 짚고 넘어갈 게 있다. ‘내 아이 예상키 공식’은 믿을 수 있을까.“남아면 아버지 어머니 평균 키에 6.5cm를 더하고, 여아면 6.5를 빼시오.”박광원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 ...
- 신기한 세계, 박막 및 미세조직공학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부릅니다. 단위 구조의 모양, 크기, 분포에 따라 재료의 성질이 달라지므로 미세조직을 조절해 우리가 원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박막은 TV, LED 조명, 휴대전화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부품을 구성하는 단위로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반도체 ...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다양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폭염 사망자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도심 열환경 조절을 고려한 도시계획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1970년대 초반 도심의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 ...
- 로봇은 자폐아의 친구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방 옆벽에 부착했다. 그 뒤 아이가 앉는 의자는 로봇과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했다. 아이의 머리에는 LED 조명이 부착된 야구모자를 쓰게 하고 여러 개의 웹카메라를 방에 설치해 아이의 머리 움직임을 지켜볼 수 있도록 했다.실험에서는 2~5살 사이의 아이 12명(6명은 ASD, 6명은 정상)이 ...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더 많다. 반도체와 콘덴서, 센서 등 70%에 달하는 부품이 세라믹 소재다. 전기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열에 강하고 강도가 높은 성질을 이용한 이들은 모바일 기기를 더욱 작고 가볍게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세라믹 소재는 디스플레이나 전자 제품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도 발을 넓히고 있다. ... ...
- 성적, 잘 받고 싶다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평균인 사람은 거듭되는 유혹을 이기지 못 하고 그대로 말려 들어가는 반면, 감정조절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놀고 싶은 마음을 참아내고 꿋꿋이 공부를 할 것입니다. 유혹을 이기지 못한 사람보다 의연하게 공부한 사람의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은 당연합니다. 만족 지연 능력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