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UFO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생명체가 존재하느냐는 문제와 직결돼 있다. 그러나 지구 밖 고등문명체에 대한 연구는
천문학자
들이 확률론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전파망원경을 통한 전파추적 등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가 이 연구에 간여하기는 어렵다.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확률로 따져서 우리 은하에만 지적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보다 더 나쁜 일이다"고 판단해 게재를 허락하였다.레버의 논문은 당대의 위대한
천문학자
오르트(Oort)에 의해 인정받게 되었으며, 오르트는 다시 헐스트(Hulst) 박사의 논문을 인용하여 파장 21cm의 중수소 원자 전파가 우리 은하에서 방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하였다. 그 예측은 하버드대학의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비하면 보잘 것이 없지요. 하지만 60cm 소백산 망원경에서 3배의 도약을 하는 셈이니
천문학자
들 모두 기대가 큽니다. 프랑스에서 제작 중인 주망원경이 올 8월말에 들어오면 10월 중에 세팅을 완료하고 망원경의 성능 조정시험을 1년 정도 거친 후에 94년 말부터는 공개할 예정입니다. 주망원경 이외에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을 충돌시키는 가속기. 물질의 기본입자를 밝히는데 가속기는 절대적인 존재다.우주를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들은 어떤 원리에 의해 운동하는가? 이 의문은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인류가 끊임없이 품어온 질문이다. 안타깝게도 그것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플로지스톤설에 얽매여 있던 화학자들은 18세기말 라브와지에의 연소실험을 계기로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 시작했다. 멘델레프의 주기율표가 등장하면서 급격하게 원소수가 늘어 현재의 1백3종이 자리를 잡았다.역학과 생물학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던 17세기. 화학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던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천문가에 의한 역사적인 재발견그로부터 1백 20년 후. 1981년을 전후하여 전 세계의 수많은
천문학자
들과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이 스위프트-터털 혜성의 재발견을 위해 눈에 불을 켜고 온 하늘을 탐색했다. 이 혜성의 발견은 주기 1백20년의 혜성-핼리 혜성은 불과 76년임-을 재발견한다는 의미에서, 또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대한 연구가 진척될수록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다.펄사발견한 여성
천문학자
벨 버넬올해는 펄사가 발견된지 26년 되는 해다. 1967년 24세의 홍일점 대학원생 벨 버넬은 규칙적으로 맥동하는 새로운 천체를 발견했다. 그 이후 5백여개의 펄사가···똑, 똑, 똑…차트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 ...
천문학계의 새바람 「허블 망원경」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탐색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M51의 뛰어난 화상은 지상망원경에 길들여진
천문학자
들의 시야를 대폭 넓혀주고 있다. 허블망원경은 천문학을 새롭게 도약시키고 있는 것이다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경제때문에 불안한가? 정치는?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를 훼손하는 정말 근절키 어려운 사람들의 경향에 대해선? 어떤 과학학문은 이와같은 넓고 깊고 멀리보는 시각을 가져 그 학문세계로 빠져들어 일상생활의 변화상을 망각함으로써 한동안 안심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천문학이나 우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현대우주론의 대표주자는 당연히 대폭발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이 우주의 생성을 설명하고 그 끝을 예견하는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현재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 앞으로 우주론에 도전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과연 무엇일까?우리가 사는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