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장 큰 차이는 과녁의 점수 영역을 나누는 방법과 점수 계산 방법입니다. 다트 보드는 총 83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황소의 눈을 닮아 불 또는 불스아이라고 부르는 작은 원을 중심으로 동심원 4개가 피자처럼 잘려져 있지요. 부채꼴처럼 생긴 20개 영역은 1부터 20까지 기본 점수가 하나씩 쓰여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수한 아이디어를 발굴한 뒤 이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총 5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와 발표 평가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올해 7월 본선에 진출할 8개 팀이 가려졌다. 나노 패터닝 기술로 금속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고, 나노 광(光)안테나를 이용해 ‘식물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술적인 성과도 있었어요. 24시간 동안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2015년에 주장했다. 거대한 저장 탱크를 지하에 1개, 지상에 2개 등 총 3개 보유하고 있고, 전력 생산을 위한 화력발전소가 포착됐다. 공사 막바지였던 2014년 7월에는 정전에 대비할 수 있는 변전소도 확인됐다. 생물 무기 12종 가운데 7종은 치명적일각에서는 생물안전등급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로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바둑 플레이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알파고는 총 4가지다. 2015년 판 후이(Fan Hui) 2단을 이기고 2016년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알파고 ‘판(Fan)’, 2016년 3월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알파고 ‘리(Lee)’, 올해 5월 커제 9단을 3대 0으로 이긴 알파고 ‘마스터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효율 끌어내독일의 기초 과학 연구를 책임지는 막스플랑크협회는 독일 전역과 해외에 총 83개 연구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연구소 운영에 드는 비용은 독일 연방정부와 주(state)가 절반씩 부담한다. 때문에 정부로부터 상당 부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의 경제 수준에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곧 개관할 김해수학체험센터, 앞으로 건립 예정인 진주와 거제의 수학체험센터까지 총 5개의 수학체험센터 건립 계획을 실행 중이다. 그리고 경남 창원에는 2018년 1월에 체험센터의 중심 역할을 할 경남수학문화관이 들어선다. 수학체험센터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체험 공간으로 학생이 주로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양의 물을 주변의 강에서 30초도 안 돼 물탱크로 빨아올려요. 이 헬기 3대를 비롯한 총 175대의 헬기가 인근 강에서 물을 퍼담아 산불 지역에 뿌리기를 계속해서 반복했답니다.◀ 산불을 진화할 때는 잔불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완전히 진화된 것으로 봤던 강릉 산불도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6차 핵실험 직후 함몰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9월 23일과 10월 13일에 핵실험장 인근에서 총 세 차례 자연지진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일부 화산 전문가들은 인근 지역의 단층이 활성화되면서 백두산 분화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는 북한 핵실험이 백두산에 영향을 미치기 쉽지 않을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높인 레이저 무기도 있다. 미국은 2004년 보잉 747-400 항공기에 사정거리 300~600km, 출력이 총 3MW(메가와트)나 되는 ‘산소요오드 화학레이저(COIL)’를 실어 지상 표적을 파괴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2011년 비용 문제로 기술 개발이 중단됐으나, 최근 미사일방어국(MDA)이 ICBM을 초기 발사 단계에서 요격할 수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