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꽃잎에 들어 있는 피보나치수열아무렇게나 올록볼록 튀어나온 듯이 보이는 파인애플 겉
표면
의 알맹이도 사실은 수학적으로 가지런하다. 알맹이들은 소용돌이 모양의 두 묶음으로 서로 얽혀 있다. 한 묶음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며, 나선 여덟 개가 들어 있다. 다른 한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맛이 느껴지는 것처럼, 서로 다른 2차원물질을 겹쳐놓으면 그
표면
에서 신기한 현상이 일어난답니다. 반도체와 부도체를 차례로 쌓은 구조에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되기도 해요. LED 같은 반도체 소자 대부분도 이종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그만큼 2차원물질 이종구조의 가능성은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평형이론 메르스 바이러스(MERS-CoV)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표면
의 돌기가 마치 태양의 코로나(태양을 둘러싸고 빛나는 플라스마 대기)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기가 대략 80~160nm 정도 되는 RNA형 바이러스다. 사스(SARS) 바이러스도 여기에 속한다.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바닥에서 3m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바닥에 가까울수록 마찰력으로 유속이 느리고,
표면
에 가까울수록 유속이 빠르다.크레인은 이번 인양의 주인공이자 위험요소다. 두 초대형 크레인이 한 몸처럼 움직이지 않으면 배가 찢어지는 사고가 날 수 있다. 크레인을 아예 안 쓰는 방법은 없을까. 세계적인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7개월 만에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작년 11월 12일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표면
에 착륙했다가 60시간 뒤에 연락이 끊겼던 탐사로봇 필래에게서 신호가 왔다고 6월 13일 발표했다.필래는 혜성 착륙 도중 역분사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 태양빛이 닿지 않는 그늘에 착륙했다. 그 바람에 태양전지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육종을 하지요.우주 육종 실험에 쓰이는 종자는 인공위성이나 유인우주선에 실려 지구
표면
에서 200~400km 떨어진 우주로 날아가요. 우주에는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온도가 영하에서 영상으로 수백 도씩 변해요. 또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 방사선이 존재하고, 중력이 거의 없으며, 물질이 거의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눈에 보이는 최초의 지점이다.플레어 -
표면
섬광 현상. 태양
표면
의 특정 지역이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이다.흑점 - 태양 광구에서 어두워 보이는 지점. 온도가 낮다. 하지만 이 지역이 온도가 낮은 것은 자기장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자기장 밀도에 비해 물질 밀도가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바짝 엎드려 다니도록 만들어야 하나요?A . 아니요. 오히려 반대로 로버의 바닥이 달
표면
과 멀리 떨어지도록 만들었어요. 돌처럼 크고 작은 장애물을 만나도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장애물을 만났을 때도 로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거든요. 이 높이를 ‘지상고’라고 하는데,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수학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 기괴하게 생긴 건물도 그래픽으로 쉽게 만들 수 있다.
표면
이 서로 다른 모양의 3차원 곡면으로 이뤄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도 파라메트릭 설계로 만들었다.한옥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먼저 만들고, 이를 조립해 짓는 ‘가구식’이다. 부재 하나 하나를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독특한 기 능은 나노미터같이 아주 작은 단위에서 나온다. 물 에 젖지 않는 연꽃잎도
표면
에 나노구조가 있다. 정 교수는 “남들이 쉽게 만들지 못하는 작은 구조를 만 들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이 가진 최고의 장점”이라고 말했다.나만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라만드는 방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어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