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쑥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소촉각은 후각을 느낀다. 물고기 | 반구 형태의 물고기 눈이 마치 투명한 유리구슬 같다. 흔히 광각이 180도를 넘는 초광각렌즈를 ‘어안렌즈’라고 하는데, 그만큼 물고기는 시야가 넓다. 사람의 눈은 얼굴 정면을 향하고 있어 뒷부분에 사각이 생기지만,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남 교수팀은 거울상 구조를 포함하는 생체 분자 펩타이드를 응용해 새로운 기하 구조 형태의 금 나노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카이랄 구조는 편광 제어 특성이 있어 여러 색을 낼 수 있다. 이 연구는 ‘네이처’ 2018년 4월 19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doi:10.1038/s41586-018-0034-1 201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했던 것이지요. 피카소는 다각도를 담은 입체주의 방법을 정립한 뒤에 드디어 완전한 형태를 그렸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피카소와 함께 영감을 주고받은 브라크, 로베트 들로네를 비롯해 이들의 영향을 받은 수많은 화가들이 입체주의 회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유행시킵니다. 이런 4차원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데 주목한 겁니다. 결국 가우스는 이 소수의 개수가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어 어떤 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어림잡아 구하는 공식 Li(x)를 만들었습니다. 이 공식은 땅속에 묻힌 소수로 이뤄진 황금계단을 발굴하는 강력한 도구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긴 끈에 무거운 추를 매달고, 그 밑에 펜을 달아 진동이 오면 종이에 기록하는 형태였지요. 지진이 나면 지진계가 땅과 함께 흔들리지만 스프링에 매달린 추는 관성에 의해 제자리에 정지해 있어요. 추에 달린 펜은 지진 때문에 흔들리는 종이에 진동을 고스란히 기록할 수 있답니다. 최근에는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인해 불이 나고 말았어요. 이후의 비행기는 부력이 아닌 *양력을 이용해 하늘을 나는 형태로 개발됐어요. 새처럼 날개를 양쪽으로 넓게 뻗은 모양이 특징이지요. 독일의 오토 릴리엔탈이 만든 글라이더와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 모두 새의 모양을 본따 만들었어요. (*양력 : 공기가 비행기를 ... ...
- [JOB터뷰] 한국 대표 공룡 점박이를 만들다! 한상호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어요. “다큐멘터리는 공룡의 형태뿐만 아니라, 움직임 등 연구자들의 고증을 거쳐야 해요. 그래서 제작 당시 전남대학교 허민 교수의 도움을 받았지요. 한편 극영화는 상상을 더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장르예요. 처음 극영화를 제작했을 땐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0~50km가 넘는 지역까지 전력을 보낼 수 없다는 게 문제지요.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직류 형태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HVDC 케이블을 만들고 바닷속에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케이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2012년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HVDC 해저 케이블이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까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지요. 다만, 눈송이는 주변의 습도가 높을수록 크고 복잡한 형태로 자라는 경향이 있답니다. 습도가 낮을 땐 상대적으로 결정이 천천히 성장하기 때문에 육각형 판 모양을 유지하고, 습도가 높을 땐 육각형의 꼭짓점 부분에서 빠른 성장이 일어나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가시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옛날부터 밤하늘을 관찰했어요. 밤하늘에 가득한 별 중 가까운 것을 이은 다음 그 형태에 따라 떠오르는 물건이나 동물의 이름을 붙이곤 했죠. 이처럼 별들을 연결한 하늘의 구역을 ‘별자리’라고 해요. 그런데 왜 옛사람들은 밤하늘을 바라본 것일까요? 우선, 옛사람들에게 별은 신성한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