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325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AI 의료
이미지
분석 대회 세계 1위…'당뇨발' 정확히 파악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책임연구원은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당뇨발
이미지
를 분석하는 기술을 더욱 고도화할 뿐 아니라 특히 욕창과 같은 만성 피부 질환 진단 및 예측 기술 개발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
AI가 방사선치료 계획하면 정확도 2.36배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계획의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AI는 멀티모달 모델이다. 텍스트,
이미지
,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듈을 사용하면 언어 정보와 영상 정보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영상검사 결과에만 의존했던 기존 방사선치료 모델과 달리 환자의 병기, 질병 ... ...
2030년까지 방사선의약품용 동위원소 100% 자급…글로벌 신약후보 3종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항암치료나 수술 부작용을 줄여 환자가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정부가 희소암 등 난치성 질환의 진단·치료에 쓰이는 방사성의약품 시장 선점을 위해 2030년까지 핵심 동위원소 자급률 100%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30년까지 방사성의약품 글로벌 신약 ... ...
폐수 속 미세플라스틱에 병원균 숨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병원균이 제거되지 않아 공중보건과 환경에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물 속 미세플라스틱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 군집이 형성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폐수 처리 과정을 거쳐도 미세플라스틱 속 병원균이 살아남아 공중보건과 환경을 위협할 수 있다는 ... ...
스트레스 조절하는 장내미생물…난치 우울증 등 새 치료법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느끼는 직장인의 모습. 게티
이미지
뱅크 장내 미생물이 신체 일주기 리듬과 상호 작용해 스트레스 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기 리듬은 우리 몸의 생물학적 과정에 24시간 주기로 활동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을 활용하면 일주기 및 수면주기 변화와 관계가 ... ...
우주방사선 노출량 실측해 항공기 승무원 안전관리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많아져 항공기에 자주 탑승하는 승무원들은 우주방사선 피폭량이 일반인보다 많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일반인보다 우주방사선에 많이 노출되는 항공 승무원에 대한 실측이 본격 진행된다. 원안위는 6일 서울 강서구 한국항공협회 대회의실에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11개 ... ...
큐비트 대신 '큐디트'로 구현한 양자컴, 16차원 계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궤도각운동량을 양자 정보 단위로 활용해 효율적인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개발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 대신 큐디트(Qudit)라는 고차원의 양자 정보 단위를 활용해 양자컴퓨팅 기술을 구현했다. 복잡한 화학 계산을 기존 방식보다 더 적은 ... ...
“결혼 안하면 우울증 확률 80%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하는 커플이 함께 꽃을 들고 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한국을 포함한 여러 문화권에 걸쳐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우울증 증상을 보일 확률이 약 80%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울증 위험도의 차이는 서구 문화권의 고학력 남성에게서 가장 컸다. 케펑 리 중국 마카오 폴리테크닉대 응용과학부 ... ...
그래핀으로 뇌종양 위치 정확히 잡아낸다…첫 임상시험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뇌종양 수술에서 암세포를 찾는 데 사용하는 첫 임상시험이 영국에서 시작된다.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그래핀의 특성을 활용해 미세한 전기신호로 정상 뇌세포를 파악하고 제거할 암세포를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2004년 ... ...
입술 기형 치료 위한 세계 최초 ‘3D 세포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는 3D 세포 모델이 등장했다. Cunaplus M.Faba/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입술 부상이나 질환을 개선하는 치료법을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는 3D 세포 모델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인간의 입술 세포를 대신해 실험에 사용할 수 있다. 입술은 음식을 먹고 말을 하고 숨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