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래"(으)로 총 2,114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석학 세바스찬 승 프린스턴대 교수 삼성리서치 소장 내정동아사이언스 l2020.06.24
-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5월 대국민 기자회견에서 ‘뉴 삼성 비전’을 발표하며 회사의 미래를 위해 외부의 유능한 인재를 영입하고 신사업에 과감히 도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
- [뉴디펜스] ‘뉴 디펜스’ 시대 안보와 경제, 기술의 융합2020.06.22
- 새로운 활력과 신성장 동력이 되기를 희망한다. ※필자소개 조동연 서경대 미래국방기술창업센터장(예비역 육군소령). 육군사관학교를 60기로 졸업하고 이라크 자이툰사단, 한미연합사령부, 외교부 정책기획관실, 육군본부 정책실에서 17년간 복무했다.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 ...
- '디지털 헬스케어냐, 미래형 전지냐' 6개 지자체 강소특구 두고 최종 겨룬다동아사이언스 l2020.06.22
-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배후공간으로 반천일반산단을 내세운 울산 울주는 미래형 전지를 특화분야로 대기업과 민간 투자 플랫폼 연계를 통한 ‘C-Innostry(Cell-Innovation Industry) 클러스터 조성’을 강조했다. 충남 천안·아산의 기술핵심기관은 한국자동차연구원, 배후공간은 풍세일반산단이다. 국내 ...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동아사이언스 l2020.06.22
-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와 같은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LG화학 제공 지난달 13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 ... 소재·부품·장비처럼 일본에 끌려다닐 수 있다”며 “양산되지 않은 산업 후보군이라도 미래를 생각해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2020.06.18
- 변화. 자료출처 송하중. (2017). 과학기술 거버넌스: 압축 성장의 신화와 절박한 미래. 과학기술정책 불안정한 과학기술 거버넌스는, 과학자 사회의 규범체계에 영향을 미친다. 산업화 시기 이후 지속적인 국가주도 과학의 상업화를 겪은 한국 과학자 사회는, 과학연구에서 공유, 개방성, 탈이해관계 ... ...
- 美해군, 마스크 부족 겪는 주한미군 공급할 3D프린팅 마스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0.06.18
-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군대에 적용하는 것 외에도 코로나19 이후 미래 보건의료 상황에서 의료진이나 최초 감염자가 기술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계획이다. 버펌 고문은 “의료 준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사람들이 다른 유행병이 시작할 ... ...
- 코세라와 THE·미네르바스쿨·브루킹스연구소 '온라인' 모여 교육미래 논한다 동아사이언스 l2020.06.17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격차 해소에 관한 논의가 열린다. 강상욱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이 주제 연사로 참여해 온라인 개학으로 나타난 수업의 질 저하, 디지털 격차 등 여러 문제를 짚는다. 레베카 윈스럽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보편적교육센터 공동센터장, 전세계 아동문맹 퇴치 ... ...
- '배터리 천하통일' 리튬이온배터리에 도전할 고성능 나트륨이온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2020.06.16
- 지스트 제공 현재 스마트폰부터 전기자동차까지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미래 배터리 후보 중 하나로 리튬 대신 나트륨을 음극재로 활용하는 ‘나트륨(소듐)이온배터리’가 있다. 나트륨이온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아직 저장 용량이 작다는 게 단점이었는데, 국내 연구팀이 ... ...
- [과학게시판] 5월 ICT 무역수지 전년 대비 2.6% 감소 外동아사이언스 l2020.06.15
-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은 인간의 탄생과 성장, 행복한 노년, 인류의 미래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23일 국립광주과학관을 시작으로 9월 15일부터 국립부산과학관, 12월 18일부터 국립대구과학관에서 개최된다 ...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과학동아 l2020.06.13
- 사용하지 않고도 증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며 “이 연구를 통해 퀀텀닷을 활용한 미래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자발광 퀀텀닷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doi: 10.1021/acsnano.7b01894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퀀텀닷 완전정복] 제5화 차세대 기술-돌돌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