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바로"(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또한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태의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네이처 표지는 바로 이 상태를 최대한 시각적으로 구현했습니다. 투명한 결정은 원자 배열의 ‘규칙성’을 나타냅니다. 결정 우측 상단의 숫자는 시간을 의미하지요. 숫자을 잘 보면 잘 보면 시간이 흐르는데 동일한 형태가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면역조절제를 개발한 뒤 이스라엘 제약회사 테바(Teva)에 기술을 이전한 과학자들이 바로 이 학과 소속이었고, 이러한 기초연구기반 응용 연구를 상업화해서 학교와 나라에 큰 기여를 하는 학과였습니다. 'Bench-to-Bedside' 연구(임상 또는 실험 모델을 통해 질병의 진단·예방·치료기술의 생물학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2017.03.07
- 발을 뗄 때 수축되면서 장딴지근의 일을 많이 덜어준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게 바로 콜라겐섬유의 점탄성 때문이다. 반면 힘줄말단의 경우는 힘줄과 뼈가 서로 달라붙어 엄청난 힘에도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하므로 섬유가 나란히 배열된 구조(점탄성에 최적화) 대신 그물망 구조를 이뤄야 한다. 실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뿐 아니라 ‘이게 과연 열 가지에 뽑힐 연구인가?’라는 의문이 든 성과가 하나 있었다. 바로 유인원의 약간 수준 높은 ‘마음의 이론’에 대한 발견이다. 마음의 이론은 말 그대로 상대의 마음(생각)을 유추해 그에 맞춰 대응하는 능력이다. 그런데 유인원은 상대가 ‘틀린 믿음을 갖고 있을 경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집단행동에 들어간다. 가장 흔한 결과가 생물막(biofilm) 형성으로, 치아에 낀 치석이 바로 구강미생물이 만든 생물막이다. 한편 비브리오 피셰리(Vibrio fischeri)라는 해양 박테리아는 밀도가 높아지면 빛을 낸다. 그렇다면 박테리아가 동료로 착각한 인공세포는 어떻게 만든 것일까. 먼저 인공세포와 ...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스마트폰으로 인체의 한 부위를 촬영하는 장면이 장식했다. 그와 함께 사용된 문구는 ‘증상을 학습하다(Lesions learnt)’이다. (아주 적은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그랬듯) 표지만 봐서는 무엇을 의도했는지 이해하기가 힘들다. Nature 제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검증, 타이밍 시스템의 자체 개발(국산화), 장치 보호 시스템(MPS)의 완성 및 성능 검증이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왼쪽 상단(RFQ에 RF를 공급하는 모습), 우측 상단 (ECR-IS에서 빔을 인출하고 진단장비로 빔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 좌측하단 (ECR-IS에서의 빔인출과 RFQ에서 가속된 빔의 인출 확인을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구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터널링 메모리 구조는 상용화돼 있는 실리콘 메모리에도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 소비 전력이 낮고, 물질적 안정성이 높으며, 신축성이 좋은 2차원 나노물질만을 사용해 기존 메모리 소자(PRAM, RRAM) 대비 1000배 높은 신호 정밀도와 고무와 같은 신축성을 지원한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비해 위대하다) √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중시(기타 집단들은 우리 집단의 위대함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 √ 자기 집단의 이미지를 해칠 것 같은 시도들에 매우 민감하며 집단에 대한 비판을 참지 못함(너희가 감히!) √ 집단의 이익에 반하는 세력의 존재에 대해 과장된 위협을 느낌 √ 자기 ... ...
- [지뇽뇽의 色수다] (ep10) 학교에서도 성폭력이 일어난다2017.01.30
- 중에서도 아직 많은 조명을 받지 못한 형태의 폭력이 있으니 성적 폭력(sexual harassment)이 바로 그것이라고 한다. 청소년기 중에서도 10대 초반 무렵은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성적 성숙을 급격하게 겪는 시기다. 이 시기는 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시기이면서도 사회에서 아직 ‘어리다’며 성에 대한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