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몸을 보호해 주기도 하고요.그런데 봄이 되면 각질층이 약해져요. 겨울부터 건조한
공기
가 계속 이어지는데다, 기온이 오르면서 피부의 수분이 증발돼 건조해지기 때문이죠. 게다가 따뜻하다가도 갑자기 추워지는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피지선과 땀샘이 제기능을 못하기도 해요. 그럼 제때 땀과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줄어들면서 갑자기 많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번개도 원래 전기가 안 통하는
공기
에 전류가 흐르는 절연파괴 현상이다.연구팀은 전하가 공간을 움직일 확률을 고려해 번개가 어떤 모양으로 갈라질지 시뮬레이션했다. 우선 공간을 단순하게 생각하기 위해 격자로 나뉜 2차원 평면으로 가정했다. ... ...
손가락 관절 ‘뚝’ 소리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급격히 빠져나가는 순간에 소리가 발생했다. 유리판에 흡착고리를 붙였다 뗄 때 사이에
공기
가 생기면서 소리가 나는 것과 유사한 원리다. 그레고리 교수는 “관절은 약 20분 뒤에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온다”며 “관절에서 소리를 내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로 ... ...
광물이야기04 - 남동석(Azurite) 아주리 군단의 푸른 태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것이다. 태양을 닮은 둥근 디스크 모양의 남동석은 오직 이곳에서만 발견된다. 남동석은
공기
에 몇 백 년 노출되면 사촌 격인 초록빛 공작석(Malachite)으로 바뀐다. 이 때문에 남동석 광물로 푸른 물감을 만들어 사용한 르네상스 시대의 명화들이 초록색으로 변색되기도 했다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다는 거죠. 이 성질을 이용해 전극소재를 개발했습니다.
공기
를 이용한 전극도 있어요. 전이금속의 도움 없이 리튬과 산소가 직접 만나 전자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전극소재입니다. 이 밖에도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전극소재를 만들기 위해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insulation, 다중 단열재)’라고 해요. 아주 얇은 알루미늄박과 그물을 층층이 쌓고 내부의
공기
를 빼서 만들었지요. 이 재질로 로버의 몸을 감싸면 로버 안쪽의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돼요. 또한 우주에서 오는 뜨거운 태양열과 방사능을 막는 역할도 한답니다.그런데 실제로 달에 갈 로버는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소리를 들으면 음량이 일정해도 소리가 점점 커지는 것처럼 들린다. 높은 음일수록
공기
가 많이 진동해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1옥타브만큼 높아지면 소리는 3dB(데시벨)만큼 크게 들린다. 따라서 1옥타브 높아질 때마다 크기가 3dB만큼 줄어드는 소리는 마치 크기가 일정한 것처럼 들린다. 이런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내리 밟으면 발바닥과 수면 사이에
공기
방울이 만들 어지는데, 바실리스크도마뱀은 이
공기
방울이 없어지 기 전에 재빨리 반대 발을 수면으로 내리 밟는다. 게다 가 바실리스크도마뱀은 발이 크고 다리가 옆으로 뻗 어있어 발을 넓게 옆으로 밀어내면서 몸무게를 수면 위로 분산시킬 수가 있다. 물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자연 환경을 활용하는 한옥과 일맥상통한다. 한옥의 공간 배치를 응용하면 건물 내부에
공기
흐름을 유도해 자연 통풍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처마의 각도를 바꾸면서 실내에 들어오는 햇빛을 조절하는 모습도 상상해볼 수 있다.한옥 호텔외국인 관광객이 한옥에 머무를 수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면
공기
는 새의 몸 위, 아래로 갈라지게 된다. 이때 몸 위로 올라간
공기
는 상승기류가 되어, 뒤따라오는 새가 적은 힘으로도 위로 뜰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제로 앞에서 두 번째 비행하는 새는 맨 앞에서 비행하는 새보다 33%만큼 에너지가 적게 든다.이렇게 편대비행을 하면 맨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